본문 바로가기
2008.01.30 17:43

중앙아시아 언어들

조회 수 9466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중앙아시아 언어들

지도를 머릿속에 그려보자. 인도 북서쪽 너머 펼쳐진 고산지대에서 초원지대에 이르는 드넓은 땅이 중앙아시아다. 이곳에는 ‘스탄’이라 이름붙은 나라들이 서로 이웃하고 있다. 파키스탄·아프가니스탄·타지키스탄·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키르기스스탄·투르크메니스탄 등. ‘스탄’은 땅을 뜻하는 말이라는데, 그 어원은 분명치 않다. 이들 나라의 말겨레를 살펴보자.

먼저 파키스탄에는 인도말겨레에 드는 우르드말이 공식어이며, 그 밖에 펀자브말을 비롯한 여러 말이 함께 쓰인다. 타지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말은 이란말겨레에 딸린다. 타지키스탄에는 타지크말이, 아프가니스탄에는 파슈토말이 주로 쓰인다. 파슈토말의 글자는 아랍글자에서 나왔으며, 타지크말은 1940년부터 러시아말처럼 키릴글자로 적는다.

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키르기스스탄·투르크메니스탄 말은 알타이말겨레 가운데서도 튀르크말겨레에 든다. 튀르크말겨레의 대표적인 말은 터키말인데, 투르크멘말은 특히 터키말에 가깝다. 물론 카자흐말·우즈베크말·키르기스말 모두 터키말과 아주 비슷하다. 이들 말은 옛날에는 아랍글자를 빌려 쓰다가 1920년대에 로마글자로 바꾸었으나 이들 나라가 모두 옛소련에 속했던 까닭에 1940년에 들어서부터 키릴글자로 바꾸었다. 이들 말들은 우리말과 말차례가 같고 씨끝도 발달하였으며, 갖가지 문법 현상들도 매우 비슷하다. 우리말 계통이 알타이말겨레와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59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16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900
1940 '지'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05 9295
1939 그분이요? / 그분이오? 바람의종 2012.10.17 9294
1938 바람의종 2012.07.27 9289
1937 우리 바람의종 2007.10.18 9287
1936 루즈 바람의종 2008.02.11 9287
1935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285
1934 동백꽃 바람의종 2010.07.09 9283
1933 승전보를 울렸다 바람의종 2010.03.15 9283
1932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277
1931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08.01.10 9276
1930 결단과 결딴 바람의종 2012.11.01 9273
1929 오랑캐 風磬 2007.01.19 9270
1928 되놈 바람의종 2008.02.23 9270
1927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269
1926 막간을 이용하다 바람의종 2008.01.06 9267
1925 벌이다, 벌리다 바람의종 2008.10.11 9267
1924 된장녀 바람의종 2010.07.20 9266
1923 덜미를 잡히다 바람의종 2007.12.30 9261
1922 괴나리봇짐, 쇠털, 괴발개발 바람의종 2008.05.23 9261
1921 어리숙, 허수룩 / 텁수룩, 헙수룩 바람의종 2009.02.02 9261
1920 쑥밭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19 9260
1919 댕기풀이 바람의종 2010.08.29 92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