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8 15:02

마니산과 머리

조회 수 8692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마니산과 머리

신라의 시조 혁거세는 ‘거서간’이었다. ‘거서간’의 ‘간’은 ‘건길지’의 ‘건’과 마찬가지로 임금을 뜻하는 토박이말이다. 신라 제2대 임금인 남해는 ‘차차웅’이었으며, 3대 임금인 유리부터는 ‘니사금’(임금)이라 불렸다. 이러한 왕의 칭호가 눌지에 이르러서는 ‘마립간’이라 불린다.

‘마립간’을 두고 “김대문이 말하기를 방언의 말뚝(궐)이요, 궐은 사람의 지위에 따라 설치하는데, 왕의 궐은 중심에 배열하고, 신하의 궐은 아래에 배열한다”라는 <삼국사기>의 기록이 남아 있다. 그렇지만 ‘마립간’이 ‘말뚝’과 관련된다는 김대문의 주장은 토박이말 ‘머리’와 한자의 ‘말뚝’을 연상한 표현일 뿐이다. 왜냐하면 ‘마립간’의 ‘마립’은 ‘머리’를 뜻하는 토박이말인 까닭이다.

강화도 ‘마니산’은 본래 ‘마리산’이었다. ‘마리’는 머리를 뜻하는 토박이말로, 모음조화가 철저하게 지켜졌던 시대의 표기다. 이 말은 ‘마루’, ‘머리’로 소리가 조금 바뀐다. 한자 ‘宗’을 ‘마루 종’이라 읽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마리’의 음이 땅이름에서 ‘마라’나 ‘마이’ 또는 ‘마니’로 변한 경우는 진안의 ‘마이산’, 제주의 ‘마라도’가 있다. 비록 ‘마이산’(馬耳山)이나 ‘마라도’(滅島)에 들어 있는 한자의 뜻에 따라 ‘말의 귀를 닮은 산’이나 ‘파도에 갈리는 섬’처럼 풀이하기도 하나 두루 주변보다 두드러진 산과 섬이라고 할 수 있으니 ‘머리’에 해당한다. 현지 사람들이나 땅이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마니산 아닌 마리산으로 부르자는 움직임도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9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4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471
180 국수 바람의종 2007.06.05 7388
179 국면 바람의종 2007.06.04 9198
178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039
177 공부 바람의종 2007.06.03 7142
176 고무적 바람의종 2007.06.03 7226
175 계륵 바람의종 2007.06.02 5961
174 계간 바람의종 2007.06.02 7080
173 건달 바람의종 2007.06.01 8558
172 거마비 바람의종 2007.06.01 10129
171 개안 바람의종 2007.05.30 7459
170 갑종 근로소득세 바람의종 2007.05.30 11301
169 감로수 바람의종 2007.05.29 7575
168 갈등 바람의종 2007.05.29 6185
167 각축 바람의종 2007.05.28 6033
166 각광 바람의종 2007.05.28 5620
165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477
164 칠흑 같다 바람의종 2007.05.25 12617
163 철부지 바람의종 2007.05.23 8189
162 천덕꾸러기 바람의종 2007.05.23 8456
161 고맙습니다 / 김지석 바람의종 2007.05.22 12540
160 중뿔나게 바람의종 2007.05.22 11390
159 주책없다 바람의종 2007.05.22 85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