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7 15:35

삼촌

조회 수 8157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삼촌

중앙아시아에 강제로 끌려가 살고 있는 동포들이 쓰는 말을 ‘고려말’이라 한다. 19세기 함경도말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고모·이모를 고려말에서는 ‘아제’(=아재)라 한다. 흔히 아제라 함은 아저씨, 곧 남자숙항을 가리키는 사투리인데, 고려말에서 아주머니, 곧 여자숙항을 가리키는 게 특징이다. 현재 강릉말에서도 아제는 고모·이모·숙모를 가리킨다.

영어에서 남자숙항은 친삼촌이든 외삼촌이든 모두 uncle이라 하고, 여자숙항은 고모든 이모든 aunt라 한다. 터키말은 각각 다르게 부른다. 친삼촌은 emme, 외삼촌은 dayi, 고모는 amme, 이모는 hala라 한다.

아버지·어머니를 가리키는 말과 숙항을 가리키는 말이 같은 언어도 있다. 하와이말에서는 아버지·친삼촌·외삼촌이 모두 makuakane이고, 어머니·고모·이모는 모두 makuahine이다. 야노마모말에서는 아버지와 친삼촌은 haya로 같으나 외삼촌은 soaya로 다르다. 또한 어머니와 이모는 naya로 같으나, 고모는 yesiya로 다르다.

파푸아섬의 다니말 역시 아버지와 친삼촌은 opaije로 같고, 어머니와 이모는 akoja로 같다. 그런데 이 말에서는 나의 외사촌 자매를 가리키는 말이 어머니·이모와 같아 akoja라 부른다.

아프리카의 아칸말도 아버지와 친삼촌을 가리키는 말은 같아 agya이고, 어머니와 이모를 가리키는 말은 같아 ena다. 그뿐만 아니라 나의 고종사촌 형제를 가리키는 말이 아버지·친삼촌과 같아 agya라 부른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3929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0519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5486
    read more
  4. 삼수갑산을 가다

    Date2008.01.16 By바람의종 Views8598
    Read More
  5. 삼십육계 줄행랑

    Date2008.01.16 By바람의종 Views12306
    Read More
  6. 삼우제

    Date2007.07.20 By바람의종 Views10748
    Read More
  7. 삼인칭 대명사 / '동양'과 '서양'

    Date2020.07.06 By風文 Views2141
    Read More
  8. 삼척동자

    Date2007.12.12 By바람의종 Views6831
    Read More
  9. 삼천포로 빠지다

    Date2008.01.17 By바람의종 Views11651
    Read More
  10. 삼촌

    Date2008.01.27 By바람의종 Views8157
    Read More
  11. 삼촌, 서방님, 동서

    Date2009.05.02 By바람의종 Views11127
    Read More
  12. 삼팔 따라지

    Date2008.02.24 By바람의종 Views10469
    Read More
  13. 삽사리

    Date2009.08.06 By바람의종 Views5837
    Read More
  14. 삿갓봉과 관악산

    Date2008.03.16 By바람의종 Views8029
    Read More
  15. 삿대질

    Date2006.12.29 By風磬 Views7015
    Read More
  16. 상구 울어 싸

    Date2010.03.18 By바람의종 Views11663
    Read More
  17. 상극

    Date2007.07.20 By바람의종 Views6239
    Read More
  18. 상무성

    Date2010.09.29 By바람의종 Views7737
    Read More
  19. 상봉, 조우, 해후

    Date2012.12.17 By바람의종 Views22049
    Read More
  20. 상사화

    Date2008.07.06 By바람의종 Views6668
    Read More
  21. 상서롭다/상스럽다

    Date2009.03.17 By바람의종 Views27935
    Read More
  22. 상석

    Date2023.12.05 By風文 Views1263
    Read More
  23. 상일꾼·큰머슴

    Date2007.09.28 By바람의종 Views12649
    Read More
  24. 상채기, 상흔, 생재기

    Date2008.12.18 By바람의종 Views9836
    Read More
  25. 상투적인 반성

    Date2021.10.10 By風文 Views88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