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7 15:33

달개비

조회 수 9275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달개비

어렸을 때 ‘달개비’는 주변에서 흔하디 흔한 풀꽃이었다. 너무 흔해서 보지 않을 수 없던 꽃 달개비는 주로 마당가 닭장 근처 같은 데서 자란다. 그래서 이름도 무척 많다. ‘닭의장풀/ 닭의밑씻개/ 닭개비/ 닭의꼬꼬’와 같이 닭과 관련된 이름에다 고장에 따라 ‘달구씨깨비/ 고낭귀/ 고냉이풀/ 고니풀’ 같은 사투리가 있다. 어떤 이는 꽃모양이 닭 머리를 닮았다고도 말한다. 그러나 한자말 ‘압척초’(鴨척草)는 ‘오리발바닥풀’, 영어이름 ‘구스 글래스’(goose grass)는 ‘거위풀’이라는 뜻이니, 집에서 치는 날짐승의 종류로도 나라나 겨레마다 다른 생활상이 드러난다. 하긴 우리 겨레한테 닭만큼 친밀한 날짐승이 어디 있으랴. 닭을 풀꽃 이름에 붙인 다른 보기로는 맨드라미의 고장말인 ‘달구베슬/ 닭비슬’도 있고, ‘닭의덩굴/ 닭의비짜루’도 있다.

달개비는 남보라색의 꽃이 대부분이라서, 빛깔에 따라 ‘하얀달개비/ 자주달개비’로 달리 부른다. 꽃이 큰 품종은 예전에 하늘색 물감을 만들어 썼다. 하루면 시들어 버려서 또 다른 영어이름은 하루만 피는 꽃이라는 데이플라워(day-flower)고, 그런 연유로 꽃말은 ‘짧았던 즐거움’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제 닭장은 멀어지고, 달개비는 과학실험실에서 잎의 숨구멍을 보는 실습재료나, 꽃집에서 사다 기르는 관상용 화분으로나 볼 수 있게 되었다. 서울 어느곳 카페 이름 ‘달개비’도 재미있던데, 흙마당에 후두둑 떨어지는 빗소리를 들으며 흙물이 튀는 달개비 꽃잎을 다시 보고 싶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달개비꽃]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6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18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160
1918 그분이요? / 그분이오? 바람의종 2012.10.17 9155
1917 보어 바람의종 2010.02.21 9150
1916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148
1915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44
1914 넋살탕 바람의종 2008.03.07 9143
1913 남산 신성비 바람의종 2008.02.16 9138
1912 오랑캐 風磬 2007.01.19 9137
1911 바라다 / 바래다 바람의종 2008.07.18 9134
1910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23
1909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23
1908 기린아 바람의종 2007.06.07 9121
1907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121
1906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118
1905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13
1904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111
1903 애매하다 바람의종 2007.10.23 9110
1902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108
1901 천정부지 바람의종 2009.09.29 9108
1900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106
1899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05
1898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8.06 9103
1897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0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