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7 15:33

개차산과 죽산

조회 수 9083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개차산과 죽산

경기도 안성 이죽면의 옛이름은 ‘개산’ 또는 ‘개차산’이었다. <삼국사기> 지리지에, 개산군은 본래 고구려 개차산군이었는데 경덕왕 때 이름을 바꾸었으며, 고려 때는 죽산(竹山)이라고 불렀다. 흥미로운 사실은 죽산의 옛이름으로 ‘개차’라는 말이 존재했다는 점이다.

‘개차’라는 말은 본래 ‘임금’을 뜻하는 말이었다. 이는 행주(幸州)의 옛이름인 ‘개백’에서도 확인된다. 행주는 본디 고구려 개백현(皆伯縣)이었는데 우왕현(遇王縣)으로 바뀌었다가 다시 행주로 바뀐 땅이름이다. 이 ‘개백’은 한자 ‘왕’(王)과 대응되며, ‘개차’(옛음은 ‘가이지’)는 ‘대’[죽]와 대응된다. 땅이름 표기는 토박이말 단어의 첫음절을 한자음으로 쓰거나 그 말에 해당하는 한자를 찾아 맞옮긴다. 이런 원리에 따라 ‘개백’을 ‘왕’으로 옮겼고, ‘개차’는 ‘대’로 옮긴 셈이다. 한자 ‘대’는 큰 것뿐만 아니라 왕과도 관련이 있다.

중국 역사서인 <주서> 이역전 백제조에는 “왕의 성은 부여씨로 어라하라 불렀으며, 백성들은 건길지라 불렀는데, 중국말로는 왕이란 뜻이다”라는 기록이 있다. 여기에 나타나는 ‘건길지’는 ‘건’과 ‘길지’로 이루어진 말이다. ‘건’은 몽골어 ‘칸’에 해당하며, ‘길지’는 ‘개차’와 마찬가지로 임금에 해당한다.

‘개차산’이 ‘죽산’이 된 것은 토박이말이 한자말로 바뀌는 과정과 관련이 있을 뿐 한자가 뜻하는 ‘대나무’와는 무관하다. 이처럼 땅이름 변화에는 우리말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긴 경우가 많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4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90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855
2864 알았습니다. 알겠습니다. 바람의종 2012.06.19 14376
2863 영어식 회사명 표기 바람의종 2012.06.19 9779
2862 차후, 추후 바람의종 2012.06.15 18689
2861 주어와 술어를 가까이 바람의종 2012.06.15 11485
2860 에너지 음료 바람의종 2012.06.15 11528
2859 노력했지마는 / 노력했지만은 바람의종 2012.06.14 8556
2858 중계(中繼)와 중개(仲介) 바람의종 2012.06.14 9059
2857 '상(上)'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2.06.13 10303
2856 지리한 -> 지루한 바람의종 2012.06.13 10531
2855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516
2854 야단법석, 난리 법석, 요란 법석 바람의종 2012.06.11 18817
2853 가능하느냐 / 가능하냐 바람의종 2012.06.01 9951
2852 응씨배 바람의종 2012.06.01 11404
2851 후덥지근 / 후텁지근 바람의종 2012.05.30 11650
2850 -지기 바람의종 2012.05.30 11462
2849 조언과 충고 바람의종 2012.05.22 9631
2848 러닝머신 바람의종 2012.05.22 7744
2847 무더위, 불볕더위 바람의종 2012.05.18 7487
2846 함함하다 바람의종 2012.05.18 11335
2845 거치장스럽다 바람의종 2012.05.16 8097
2844 헤어진 옷 바람의종 2012.05.16 11194
2843 생살, 살생 바람의종 2012.05.15 83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