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6 12:40

자욱길

조회 수 1165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자욱길

늦여름 윗대 어른들 뫼터 벌초를 할 때 사람 발길이 드문 산길을 오르다 보면 길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적잖다. 사람이 다니지 않아 웃자란 풀이 길을 가려 버린 까닭이다. 이런 길이 ‘자욱길’이다.

“나뭇군의 자욱길을 좇아서 산을 타고 골을 넘어 나가다가 나중에 길을 잃고서 헤매는 중에 해가 저물었다.”(홍명희, <임꺽정>)

자욱은 ‘발자국’의 ‘자국’과 같은 말이다. 자욱길은 표준어 규정을 따른다면 ‘자국길’이라 할 수 있겠다. 발자욱과 발자국은 근대 국어에서 모두 쓰이던 말인데, 1957년 발행된 한글학회 <큰사전>에서 ‘자욱, 발자욱’을 비표준어로 처리한 뒤, 지금은 남과 북의 차이로 벌어졌다. ‘자욱, 발자욱’을 남녘에서는 표준어로 인정하지 않지만, 북녘에서는 ‘자국, 발자국’의 동의어로 인정하고 있다.

북녘에서 ‘자욱, 발자욱’을 수용한 것은 아마도 현실적으로 많이 쓰인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남녘에서도 ‘발자욱’은 현실에서 ‘발자국’과 함께 쓰이고 있다. 이 점에서 ‘자욱’과 ‘발자욱’에 대해 다시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자욱, 자국과 관련이 있는 낱말로 ‘자국걸음, 자국눈, 자국물, 자욱포수’ 등이 있다. 자국걸음은 ‘조심스럽게 디디는 걸음’, 자국눈은 ‘발자국이 겨우 생길 만큼 조금 내린 눈’, 자국물은 ‘발자국에 괸 물’이나 ‘아주 적은 물’, 자욱포수는 ‘동물의 발자국을 잘 쫓는 포수’를 일컫는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85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35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374
158 왠지/웬일, 어떻게/어떡해 風文 2023.06.30 1210
157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209
156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208
155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風文 2022.07.21 1208
154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204
153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204
152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1204
151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203
150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203
149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203
148 북혐 프레임, 인사시키기 風文 2022.05.30 1201
147 옹알이 風文 2021.09.03 1199
146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199
145 역사와 욕망 風文 2022.02.11 1197
144 순직 風文 2022.02.01 1196
143 깨알 글씨,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6.22 1195
142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1193
141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191
140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187
139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186
138 다만, 다만, 다만, 뒷담화 風文 2022.09.07 1185
137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風文 2022.09.08 11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