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6 12:40

자욱길

조회 수 11746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자욱길

늦여름 윗대 어른들 뫼터 벌초를 할 때 사람 발길이 드문 산길을 오르다 보면 길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적잖다. 사람이 다니지 않아 웃자란 풀이 길을 가려 버린 까닭이다. 이런 길이 ‘자욱길’이다.

“나뭇군의 자욱길을 좇아서 산을 타고 골을 넘어 나가다가 나중에 길을 잃고서 헤매는 중에 해가 저물었다.”(홍명희, <임꺽정>)

자욱은 ‘발자국’의 ‘자국’과 같은 말이다. 자욱길은 표준어 규정을 따른다면 ‘자국길’이라 할 수 있겠다. 발자욱과 발자국은 근대 국어에서 모두 쓰이던 말인데, 1957년 발행된 한글학회 <큰사전>에서 ‘자욱, 발자욱’을 비표준어로 처리한 뒤, 지금은 남과 북의 차이로 벌어졌다. ‘자욱, 발자욱’을 남녘에서는 표준어로 인정하지 않지만, 북녘에서는 ‘자국, 발자국’의 동의어로 인정하고 있다.

북녘에서 ‘자욱, 발자욱’을 수용한 것은 아마도 현실적으로 많이 쓰인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남녘에서도 ‘발자욱’은 현실에서 ‘발자국’과 함께 쓰이고 있다. 이 점에서 ‘자욱’과 ‘발자욱’에 대해 다시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자욱, 자국과 관련이 있는 낱말로 ‘자국걸음, 자국눈, 자국물, 자욱포수’ 등이 있다. 자국걸음은 ‘조심스럽게 디디는 걸음’, 자국눈은 ‘발자국이 겨우 생길 만큼 조금 내린 눈’, 자국물은 ‘발자국에 괸 물’이나 ‘아주 적은 물’, 자욱포수는 ‘동물의 발자국을 잘 쫓는 포수’를 일컫는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37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00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855
2732 자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4 7149
2731 자웅을 겨루다 바람의종 2008.01.28 20861
» 자욱길 바람의종 2008.01.26 11746
2729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474
2728 자문을 구하다? 바람의종 2010.05.05 14085
2727 자문 바람의종 2007.08.13 7399
2726 자문 바람의종 2008.11.15 5230
2725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484
2724 자립명사와 의존명사 바람의종 2010.01.28 13384
2723 자리 매김 바람의종 2008.10.13 7100
2722 자라목 바람의종 2007.03.16 7687
2721 자기 개발 / 자기 계발 바람의종 2011.11.24 12252
2720 자그마치 바람의종 2007.03.16 11597
2719 자(字) 바람의종 2011.11.15 10748
2718 잎, 잎새, 잎사귀, 이파리 바람의종 2009.10.02 15556
2717 잊혀진(?) 계절 바람의종 2008.05.27 7679
2716 잊다, 잃다 바람의종 2009.11.23 12401
2715 있으매와 있음에 바람의종 2011.01.30 12607
2714 있사오니 / 있아오니 바람의종 2011.11.30 13139
2713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449
2712 있다가 / 이따가 바람의종 2010.10.21 10885
2711 있냐? 없냐? 바람의종 2008.09.23 90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