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5 14:30

듬실과 버드실

조회 수 7740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듬실과 버드실

“신라의 시조 혁거세는 전한의 오봉 원년 갑자에 나라를 세웠는데, 도읍의 길이가 3075보, 너비가 3018보이며, 35리 6부에 나라 이름을 서야벌(徐耶伐), 사라(斯羅), 사로(斯盧) 혹은 신라(新羅)라 하였다.”(<삼국사기> 지리지) 여기에 나타나는 ‘서야벌·사라·사로·신라’는 오늘날 ‘서울’의 어원에 해당한다.

그렇다면 ‘신라’는 어떤 의미를 담고 있었던 것일까? 지리지에 나타나는 다른 지명에서는 이 말의 뜻을 짐작할 만한 것이 없다. 그러나 우리는 작은 마을을 나타내는 땅이름에서 이 말의 뜻을 짐작할 수 있다. 사전 편찬사를 뒤적이면, 조선어학회에서 <큰사전>을 만들 바탕으로 ‘시골말’(방언)과 ‘조선말 지명’을 조사해 모은 자료가 나온다. 그 가운데 ‘듬실’[杜谷], ‘버드실’[柳谷]과 같은 지명을 볼 수 있다.

‘실’과 관련된 땅이름이 문헌에는 잘 보이지 않는데, ‘실’이 붙는 땅이름은 매우 많다. 한자 ‘곡’(谷)으로 맞옮겨 기록된 사례는 무수하다. 달리 말해 ‘실’은 ‘골짜기’의 뜻으로, 마을 이름에 ‘실’이 붙는 연유는 골 어귀에 마을이 형성됨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많은 사람들이 ‘실’이 신라계 지명에서 온 남쪽 지방의 땅이름이라고 여겼는데, 앞의 자료는 평안 북부에서 나온 땅이름이었다. 실제로 ‘실’은 남쪽뿐만 아니라 경기 양평 등에서도 발견된다. 작은 마을 이름에서도 우리말의 뿌리를 찾아 볼 수 있는 사례라 하겠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88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58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399
2864 빼았기다 / 빼앗기다 바람의종 2011.11.15 12013
2863 홍길동이라고 합니다 바람의종 2010.08.14 12011
2862 한(限) 바람의종 2010.06.01 12003
2861 맞장구 치다 바람의종 2008.01.07 12003
2860 함흥차사 바람의종 2007.12.24 11988
2859 삼겹살의 나이 바람의종 2012.05.04 11986
2858 입장 바람의종 2010.03.18 11984
2857 시보리 바람의종 2012.09.14 11982
2856 제우 요것뿐이오! 바람의종 2010.01.20 11978
2855 난이도, 난도 바람의종 2009.06.29 11975
2854 황소바람 바람의종 2010.09.04 11974
2853 쌉싸름하다 바람의종 2009.05.21 11966
2852 숟가락 바람의종 2010.05.28 11964
2851 뇌졸중 / 뇌졸증 바람의종 2012.08.13 11940
2850 속앓이 바람의종 2009.09.26 11924
2849 회피 / 기피 바람의종 2012.07.05 11916
2848 ‘바드민톤’과 ‘아수한 이별’ 바람의종 2010.04.23 11912
2847 ‘붇다’와 ‘붓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1.14 11896
2846 좋은 아침! 바람의종 2008.03.27 11895
2845 노일전쟁 바람의종 2010.06.19 11891
2844 야트막하다, 낮으막하다, 나지막하다 바람의종 2009.03.30 11891
2843 어기여차 바람의종 2012.10.30 118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