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5 14:30

듬실과 버드실

조회 수 7824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듬실과 버드실

“신라의 시조 혁거세는 전한의 오봉 원년 갑자에 나라를 세웠는데, 도읍의 길이가 3075보, 너비가 3018보이며, 35리 6부에 나라 이름을 서야벌(徐耶伐), 사라(斯羅), 사로(斯盧) 혹은 신라(新羅)라 하였다.”(<삼국사기> 지리지) 여기에 나타나는 ‘서야벌·사라·사로·신라’는 오늘날 ‘서울’의 어원에 해당한다.

그렇다면 ‘신라’는 어떤 의미를 담고 있었던 것일까? 지리지에 나타나는 다른 지명에서는 이 말의 뜻을 짐작할 만한 것이 없다. 그러나 우리는 작은 마을을 나타내는 땅이름에서 이 말의 뜻을 짐작할 수 있다. 사전 편찬사를 뒤적이면, 조선어학회에서 <큰사전>을 만들 바탕으로 ‘시골말’(방언)과 ‘조선말 지명’을 조사해 모은 자료가 나온다. 그 가운데 ‘듬실’[杜谷], ‘버드실’[柳谷]과 같은 지명을 볼 수 있다.

‘실’과 관련된 땅이름이 문헌에는 잘 보이지 않는데, ‘실’이 붙는 땅이름은 매우 많다. 한자 ‘곡’(谷)으로 맞옮겨 기록된 사례는 무수하다. 달리 말해 ‘실’은 ‘골짜기’의 뜻으로, 마을 이름에 ‘실’이 붙는 연유는 골 어귀에 마을이 형성됨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많은 사람들이 ‘실’이 신라계 지명에서 온 남쪽 지방의 땅이름이라고 여겼는데, 앞의 자료는 평안 북부에서 나온 땅이름이었다. 실제로 ‘실’은 남쪽뿐만 아니라 경기 양평 등에서도 발견된다. 작은 마을 이름에서도 우리말의 뿌리를 찾아 볼 수 있는 사례라 하겠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42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01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751
3433 말차례 바람의종 2008.01.20 489086
3432 표피 바람의종 2012.11.14 78069
3431 펴다와 피다 바람의종 2012.11.27 51276
3430 핼쑥하다, 해쓱하다, 헬쓱하다, 헬쑥하다, 핼슥하다, 헬슥하다 바람의종 2010.11.26 48293
3429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바람의종 2012.11.06 41187
3428 홰를 치다 바람의종 2008.02.01 40192
3427 미소를 / 활기를 / 운을 띄우다 바람의종 2012.12.12 38364
3426 지도 편달 바람의종 2007.12.22 36080
3425 퀘퀘하다, 퀴퀴하다, 쾌쾌하다 바람의종 2012.05.09 34605
3424 귀를 기울이다 / 술잔을 기우리다 바람의종 2012.08.14 33126
3423 일찌기, 일찍이 / 더우기, 더욱이 바람의종 2012.09.26 31789
3422 감질맛, 감칠맛 바람의종 2012.12.24 30868
3421 양수겹장 / 양수겸장 바람의종 2012.07.25 30754
3420 이었다, 이였다 바람의종 2012.10.08 30434
3419 함바집, 노가다 바람의종 2012.11.28 29769
3418 CCTV 윤안젤로 2013.05.13 28504
3417 널브러져/널부러져/너브러져/너부러져 바람의종 2012.09.12 28184
3416 상서롭다/상스럽다 바람의종 2009.03.17 28087
3415 연도 / 년도 바람의종 2009.04.14 280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