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5 14:30

듬실과 버드실

조회 수 7762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듬실과 버드실

“신라의 시조 혁거세는 전한의 오봉 원년 갑자에 나라를 세웠는데, 도읍의 길이가 3075보, 너비가 3018보이며, 35리 6부에 나라 이름을 서야벌(徐耶伐), 사라(斯羅), 사로(斯盧) 혹은 신라(新羅)라 하였다.”(<삼국사기> 지리지) 여기에 나타나는 ‘서야벌·사라·사로·신라’는 오늘날 ‘서울’의 어원에 해당한다.

그렇다면 ‘신라’는 어떤 의미를 담고 있었던 것일까? 지리지에 나타나는 다른 지명에서는 이 말의 뜻을 짐작할 만한 것이 없다. 그러나 우리는 작은 마을을 나타내는 땅이름에서 이 말의 뜻을 짐작할 수 있다. 사전 편찬사를 뒤적이면, 조선어학회에서 <큰사전>을 만들 바탕으로 ‘시골말’(방언)과 ‘조선말 지명’을 조사해 모은 자료가 나온다. 그 가운데 ‘듬실’[杜谷], ‘버드실’[柳谷]과 같은 지명을 볼 수 있다.

‘실’과 관련된 땅이름이 문헌에는 잘 보이지 않는데, ‘실’이 붙는 땅이름은 매우 많다. 한자 ‘곡’(谷)으로 맞옮겨 기록된 사례는 무수하다. 달리 말해 ‘실’은 ‘골짜기’의 뜻으로, 마을 이름에 ‘실’이 붙는 연유는 골 어귀에 마을이 형성됨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많은 사람들이 ‘실’이 신라계 지명에서 온 남쪽 지방의 땅이름이라고 여겼는데, 앞의 자료는 평안 북부에서 나온 땅이름이었다. 실제로 ‘실’은 남쪽뿐만 아니라 경기 양평 등에서도 발견된다. 작은 마을 이름에서도 우리말의 뿌리를 찾아 볼 수 있는 사례라 하겠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85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45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313
1126 등골이 빠진다 바람의종 2008.01.02 9742
» 듬실과 버드실 바람의종 2008.01.25 7762
1124 들통나다 바람의종 2008.01.02 12534
1123 들추다, 들치다 바람의종 2009.11.24 10596
1122 들쳐업다 바람의종 2009.07.28 9674
1121 들이키다, 들이켜다 바람의종 2008.09.09 10329
1120 들여마시다 바람의종 2010.01.28 8502
1119 들어눕다 / 드러눕다, 들어내다 / 드러내다 바람의종 2012.08.16 20803
1118 들르다와 들리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02 11619
1117 들르다/들리다, 거스르다/거슬리다, 구스르다/구슬리다 바람의종 2008.05.24 12484
1116 드셔 보세요 바람의종 2008.03.13 7559
1115 드론 바람의종 2012.10.15 12306
1114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586
1113 드라비다말 바람의종 2008.01.02 7021
1112 뒷자석, 뒤 자석, 뒷번호, 뒤 번호 바람의종 2009.11.08 11109
1111 뒷담화 보도, 교각살우 風文 2022.06.27 1270
1110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240
1109 뒷담화 바람의종 2009.06.15 6982
1108 뒷담화 風文 2020.05.03 1153
1107 뒷간이 바람의종 2008.09.18 8017
1106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508
1105 뒤처지다, 뒤쳐지다 바람의종 2012.09.21 127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