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4 18:09

황새울과 큰새

조회 수 11393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황새울과 큰새

작은 마을 이름에는 땅의 모양새나 동식물과 관련된 것들이 많다. 당진군 정미면의 ‘황새울’이라는 곳도 ‘황새’가 많이 날아든다는 뜻에서 붙은 이름이다. 그런데 이 마을 사람들은 ‘황새울’을 ‘한새울’이라고도 한다. ‘황새’와 ‘한새’는 어떤 관계일까?

우리말 형용사 ‘하다’는 ‘크다·많다’라는 뜻을 지닌 옛말이었다. 이는 <용비어천가> 제2장의 ‘불휘 기픈 남? 바?매 아니 뮐? 곶 됴코 여름 하?니’라는 표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여기서 ‘여름 하?니’는 ‘열매가 많으니’라는 뜻이다. ‘한강’은 ‘큰 강’을 뜻하며, ‘한밭’은 또한 ‘큰 밭’(大田)’을 뜻한다는 것은 두루 아는 사실이다. 우리 글을 ‘한글’이라 한 것도 ‘큰 글’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이쯤 되면 ‘한새울’이 ‘황새울’로 불리는 까닭도 짐작할 수 있다. ‘한 새’는 ‘큰 새’이며, 한낱말로 녹아드는 과정에서 ‘황새’라는 말로 바뀌었음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최세진의 <훈몽자회>에서는 황새를 ‘한새 관(?)’으로 풀이한 바 있다. 또한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황새’를, “몸의 길이는 1미터, 편 날개의 길이는 66센티미터, 몸빛은 흰 빛”으로 풀이한다. 결국 ‘황’은 ‘한’이 변한 소리다. ‘한’은 ‘황’뿐만 아니라 ‘항’으로 소리날 수도 있다. 우리 옛말에 ‘주인’을 뜻하는 ‘항것’도 ‘큰’이라는 뜻의 ‘항’과 ‘주인’이라는 뜻의 ‘것’이 합쳐진 말이다. 이처럼 음이 유사한 작은 마을 이름에서 우리말의 본새를 찾는 일은 즐거운 일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5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24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127
2864 너도밤나무 바람의종 2008.01.22 6865
2863 알토란 같다 바람의종 2008.01.24 15955
2862 애가 끊어질 듯하다 바람의종 2008.01.24 10763
» 황새울과 큰새 바람의종 2008.01.24 11393
2860 사촌 바람의종 2008.01.24 10464
2859 이마귀 바람의종 2008.01.24 9360
2858 액면 그대로 바람의종 2008.01.25 6972
2857 약방에 감초 바람의종 2008.01.25 8233
2856 어안이 벙벙하다 바람의종 2008.01.25 15953
2855 차례와 뜨레 바람의종 2008.01.25 8319
2854 개양귀비 바람의종 2008.01.25 7463
2853 듬실과 버드실 바람의종 2008.01.25 7759
2852 억장이 무너지다 바람의종 2008.01.26 10152
2851 억지 춘향 바람의종 2008.01.26 10093
2850 여자 팔자 뒤웅박 팔자 바람의종 2008.01.26 15583
2849 형제자매 바람의종 2008.01.26 11613
2848 자욱길 바람의종 2008.01.26 11773
2847 뽑다와 캐다 바람의종 2008.01.26 8398
2846 오지랖이 넓다 바람의종 2008.01.27 14346
2845 이골이 나다 바람의종 2008.01.27 16749
2844 인구에 회자되다 바람의종 2008.01.27 13701
2843 개차산과 죽산 바람의종 2008.01.27 90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