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2 11:53

너도밤나무

조회 수 6755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너도밤나무

요새는 비슷한 동식물을 알기 쉽게 설명할 때 흔히 ‘사촌’을 끌어다 쓴다. 예컨대 문어와 낙지는 사촌이고, 가자미는 넙치와 사촌쯤 된다는 식으로 …. 그런데 풀꽃이름에서는 이 ‘사촌’ 대신 ‘아재비’가 쓰이거나 ‘너도/ 나도’가 쓰였다.

‘아재비’는 ‘아저씨’처럼 아버지와 같은 항렬의 형제를 일컫는 오래 된 말로, 풀꽃이름에서는 대충 비슷한 모습일 때 붙인다. ‘미나리아재비, 둥굴레아재비, 골풀아재비, 억새아재비 …’들이 있다.

‘너도밤나무’는 울릉도 바닷가가 원산지이며, 성인봉 근처 숲을 이룬 군락이 천연기념물 50호로 지정되었다. 잎과 열매가 전체적으로 밤나무와 닮아 먼 친척뻘 정도 되는데, 그래서 ‘너도 밤나무다’라는 뜻으로 지은 이름이다. ‘너도바람꽃, 너도양지꽃, 너도방동사니, 너도고랭이 …’들도 마찬가지다.

이에 견줘 ‘나도밤나무’는 언뜻 보아 잎이 밤나무와 닮았을 뿐, 전혀 다르다. 그런데도 ‘나도 밤나무요’라고 우기고 있는 것이다. ‘나도’가 붙은 이름으로는 ‘나도송이풀, 나도냉이, 나도박달, 나도잔디 …’들이 있다.

‘너도’는 다른 사람이 인정해 주는 것이고, ‘나도’는 제 스스로 나서는 것이라고 볼 때, 객관적으로는 ‘너도’가 원형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겠다. ‘너도/ 나도’가 붙은 것은 ‘주어+술어’ 짜임으로서, 이런 얼개로는 낱말을 만들지 않는 것이 보통인데, 이를 깨뜨린 이름이어서 특별하게 느껴지고 더 기억에 남는 듯하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80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29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238
2864 알았습니다. 알겠습니다. 바람의종 2012.06.19 14270
2863 영어식 회사명 표기 바람의종 2012.06.19 9734
2862 차후, 추후 바람의종 2012.06.15 18565
2861 주어와 술어를 가까이 바람의종 2012.06.15 11445
2860 에너지 음료 바람의종 2012.06.15 11506
2859 노력했지마는 / 노력했지만은 바람의종 2012.06.14 8504
2858 중계(中繼)와 중개(仲介) 바람의종 2012.06.14 9029
2857 '상(上)'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2.06.13 10213
2856 지리한 -> 지루한 바람의종 2012.06.13 10486
2855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295
2854 야단법석, 난리 법석, 요란 법석 바람의종 2012.06.11 18706
2853 가능하느냐 / 가능하냐 바람의종 2012.06.01 9843
2852 응씨배 바람의종 2012.06.01 11384
2851 후덥지근 / 후텁지근 바람의종 2012.05.30 11470
2850 -지기 바람의종 2012.05.30 11348
2849 조언과 충고 바람의종 2012.05.22 9551
2848 러닝머신 바람의종 2012.05.22 7663
2847 무더위, 불볕더위 바람의종 2012.05.18 7440
2846 함함하다 바람의종 2012.05.18 11221
2845 거치장스럽다 바람의종 2012.05.16 8027
2844 헤어진 옷 바람의종 2012.05.16 11075
2843 생살, 살생 바람의종 2012.05.15 82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