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1 11:04

태백산과 아사달

조회 수 7725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태백산과 아사달

신화는 그 겨레의 뿌리이자 정신세계를 반영한다.

<삼국유사>에 기록된 ‘단군신화’는 우리 겨레의 뿌리이자 정신세계가 담긴 것라고 할 수 있다. 하느님의 아들인 환웅이 아사달 신단수에 내려와 웅녀와 혼인하여 아들을 낳았고, 그 아들의 이름을 단군이라 불렀다는 게 단군신화의 내용이다. 이에 <신증동국여지승람>은 하늘에서 신인이 태백산 박달나무 아래로 내려와 나라를 세웠는데, 백성들이 그를 단군이라 부른 것으로 기록한 바 있다.

다소 차이는 있지만, 우리는 두 문헌에 나온 기록을 통해 단군신화에 나타나는 ‘아사달’과 ‘태백산’이 같은 곳을 뜻함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아사달’에서 ‘달’은 <삼국사기> 지리지 고구려계 땅이름에서 흔히 발견되는데, 한자어 ‘산’(山)과 같은 뜻을 지닌 말이며, ‘아사’는 ‘아침’의 어원에 해당하는 말로, 알타이어에 드는 퉁구스·터키·몽골어에서도 흔적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아침’과 ‘밝음’, ‘태양’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그렇기에 단군이 세운 나라를 ‘조선’(朝鮮)이라 부른 것도 자연스러운 일로 보인다. 아침을 밝히는 주체가 ‘해’라는 점을 고려하면, ‘태백산’은 ‘아사달’의 한자어인 셈이다. 더욱이 ‘태백산·소백산·백운산·백마산’에 나오는 ‘백’(白)은 모두 ‘태양’과 관련을 맺는데, 이는 ‘해’를 한자로 옮길 때 ‘백’(白)을 썼다는 얘기다. 우리나라 곳곳에는 ‘해’와 관련된 땅이름들이 많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4195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5717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8Jan
    by 바람의종
    2008/01/18 by 바람의종
    Views 10690 

    시치미를 떼다

  5. No Image 18Jan
    by 바람의종
    2008/01/18 by 바람의종
    Views 17467 

    신물이 나다

  6. No Image 18Jan
    by 바람의종
    2008/01/18 by 바람의종
    Views 6925 

    압록강과 마자수

  7. No Image 18Jan
    by 바람의종
    2008/01/18 by 바람의종
    Views 6938 

    성별 문법

  8. No Image 18Jan
    by 바람의종
    2008/01/18 by 바람의종
    Views 10324 

    윽박

  9. No Image 19Jan
    by 바람의종
    2008/01/19 by 바람의종
    Views 13195 

    심금을 울리다

  10. No Image 19Jan
    by 바람의종
    2008/01/19 by 바람의종
    Views 9254 

    쑥밭이 되다

  11. No Image 19Jan
    by 바람의종
    2008/01/19 by 바람의종
    Views 4189 

    말과 글

  12. No Image 19Jan
    by 바람의종
    2008/01/19 by 바람의종
    Views 6029 

    며느리밥풀

  13. No Image 19Jan
    by 바람의종
    2008/01/19 by 바람의종
    Views 6790 

    안시성과 아골관

  14. No Image 20Jan
    by 바람의종
    2008/01/20 by 바람의종
    Views 8527 

    씨가 먹히다

  15. No Image 20Jan
    by 바람의종
    2008/01/20 by 바람의종
    Views 8006 

    씨알머리가 없다

  16. No Image 20Jan
    by 바람의종
    2008/01/20 by 바람의종
    Views 488520 

    말차례

  17. No Image 20Jan
    by 바람의종
    2008/01/20 by 바람의종
    Views 8444 

    부리다와 시키다

  18. No Image 20Jan
    by 바람의종
    2008/01/20 by 바람의종
    Views 6428 

    달맞이꽃

  19. No Image 21Jan
    by 바람의종
    2008/01/21 by 바람의종
    Views 11750 

    아닌 밤중에 홍두깨

  20. No Image 21Jan
    by 바람의종
    2008/01/21 by 바람의종
    Views 13341 

    아퀴를 짓다

  21. No Image 21Jan
    by 바람의종
    2008/01/21 by 바람의종
    Views 7725 

    태백산과 아사달

  22. No Image 22Jan
    by 바람의종
    2008/01/22 by 바람의종
    Views 10144 

    악머구리 끓듯 한다

  23. No Image 22Jan
    by 바람의종
    2008/01/22 by 바람의종
    Views 7341 

    안절부절 못하다

  24. No Image 22Jan
    by 바람의종
    2008/01/22 by 바람의종
    Views 8975 

    인사말

  25. No Image 22Jan
    by 바람의종
    2008/01/22 by 바람의종
    Views 6465 

    소젖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