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1 11:04

태백산과 아사달

조회 수 7599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태백산과 아사달

신화는 그 겨레의 뿌리이자 정신세계를 반영한다.

<삼국유사>에 기록된 ‘단군신화’는 우리 겨레의 뿌리이자 정신세계가 담긴 것라고 할 수 있다. 하느님의 아들인 환웅이 아사달 신단수에 내려와 웅녀와 혼인하여 아들을 낳았고, 그 아들의 이름을 단군이라 불렀다는 게 단군신화의 내용이다. 이에 <신증동국여지승람>은 하늘에서 신인이 태백산 박달나무 아래로 내려와 나라를 세웠는데, 백성들이 그를 단군이라 부른 것으로 기록한 바 있다.

다소 차이는 있지만, 우리는 두 문헌에 나온 기록을 통해 단군신화에 나타나는 ‘아사달’과 ‘태백산’이 같은 곳을 뜻함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아사달’에서 ‘달’은 <삼국사기> 지리지 고구려계 땅이름에서 흔히 발견되는데, 한자어 ‘산’(山)과 같은 뜻을 지닌 말이며, ‘아사’는 ‘아침’의 어원에 해당하는 말로, 알타이어에 드는 퉁구스·터키·몽골어에서도 흔적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아침’과 ‘밝음’, ‘태양’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그렇기에 단군이 세운 나라를 ‘조선’(朝鮮)이라 부른 것도 자연스러운 일로 보인다. 아침을 밝히는 주체가 ‘해’라는 점을 고려하면, ‘태백산’은 ‘아사달’의 한자어인 셈이다. 더욱이 ‘태백산·소백산·백운산·백마산’에 나오는 ‘백’(白)은 모두 ‘태양’과 관련을 맺는데, 이는 ‘해’를 한자로 옮길 때 ‘백’(白)을 썼다는 얘기다. 우리나라 곳곳에는 ‘해’와 관련된 땅이름들이 많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49830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1327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7Mar
    by 바람의종
    2010/03/17 by 바람의종
    Views 12073 

    클래식

  5. No Image 10Mar
    by 바람의종
    2010/03/10 by 바람의종
    Views 10547 

    타산지석

  6. No Image 06Oct
    by 바람의종
    2010/10/06 by 바람의종
    Views 9743 

    탓과 덕분

  7. No Image 23Jul
    by 바람의종
    2010/07/23 by 바람의종
    Views 10570 

    탕비실

  8. No Image 29Jan
    by 風文
    2022/01/29 by 風文
    Views 1256 

    태극 전사들

  9. No Image 21Jan
    by 바람의종
    2008/01/21 by 바람의종
    Views 7599 

    태백산과 아사달

  10. No Image 28Feb
    by 바람의종
    2012/02/28 by 바람의종
    Views 9549 

    태어나다

  11. No Image 31Jan
    by 바람의종
    2008/01/31 by 바람의종
    Views 10555 

    태풍의 눈

  12. No Image 15Aug
    by 바람의종
    2010/08/15 by 바람의종
    Views 14613 

    택도 없다.

  13. No Image 31Jan
    by 바람의종
    2008/01/31 by 바람의종
    Views 11447 

    터무니가 없다

  14. No Image 13Apr
    by 바람의종
    2010/04/13 by 바람의종
    Views 10526 

    터무니없다

  15. No Image 28Apr
    by 바람의종
    2008/04/28 by 바람의종
    Views 7925 

    터물·더믈

  16. No Image 11Nov
    by 바람의종
    2008/11/11 by 바람의종
    Views 7076 

    터울

  17. No Image 08Nov
    by 바람의종
    2007/11/08 by 바람의종
    Views 6507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18. No Image 22Oct
    by 바람의종
    2008/10/22 by 바람의종
    Views 8037 

    토끼

  19. No Image 01Feb
    by 바람의종
    2008/02/01 by 바람의종
    Views 13777 

    토를 달다

  20. No Image 06May
    by 바람의종
    2010/05/06 by 바람의종
    Views 8406 

    토씨 하나 잘못 쓰면

  21. No Image 31May
    by 바람의종
    2009/05/31 by 바람의종
    Views 6110 

    토씨의 사용

  22. No Image 16Dec
    by 바람의종
    2007/12/16 by 바람의종
    Views 6953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23. 톨마

  24. No Image 28Jan
    by 風文
    2022/01/28 by 風文
    Views 1323 

    통속어 활용법

  25. No Image 21Dec
    by 바람의종
    2012/12/21 by 바람의종
    Views 21279 

    통음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