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0 05:57

부리다와 시키다

조회 수 8270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부리다와 시키다


‘부리다’에는 아주 다른 두 가지 뜻이 있다. 하나는 재주를, 꾀를, 멋을, 어리광을, 말썽을, 심술을, 기승을 부리다 같이 “속에 감추어져 있던 것을 겉으로 드러내 떨친다”는 뜻이다. 이런 ‘부리다’는 ‘피우다’와 매우 비슷해서 ‘재주를 피우다’ ‘어리광을 피우다’처럼 그 자리에 곧장 바꾸어 써도 괜찮다. ‘부리다’에는 이와 아주 다른 뜻이 하나 더 있다. 이런 뜻의 ‘부리다’는 ‘시키다’와 비슷하다. 이때 ‘부리다’는 ‘시키다’와 마찬가지로 “무엇을 하도록 한다”는 뜻이다. 뜻으로만 보아서는 ‘부리다’와 ‘시키다’가 서로 다를 것이 없는 낱말이라 하겠다.

그러나 ‘부리다’와 ‘시키다’는 쓰임새가 아주 다르다. 이들 두 낱말의 뜻인 “무엇을 하도록 한다”는 월은 ①무엇을 ②하도록 ③한다는 세 낱말로 이루어졌는데, ‘시키다’는 ‘①무엇을’에 걸어서 쓰는 낱말이고 ‘부리다’는 ‘②하도록’에 걸어서 쓰는 낱말이다. ‘시키다’는 [일]에 걸어서 쓰고, ‘부리다’는 일하는 [힘]에 걸어서 쓴다. [일]을 시키고, 일하는 [힘]을 부린다는 말이다. [심부름]을 시키고, 심부름하는 [사람]을 부린다. [밭갈이]를 시키고, 밭갈이하는 [소]를 부린다. [쓰레기 청소]를 시키고, 쓰레기 청소하는 [청소차]를 부린다. 사람에게든 짐승한테든 기계한테든 [일]을 시키고, 사람이든 짐승이든 기계든 일하는 [힘]을 부린다. “아무개에게 시켰다”는 말을 흔히 하지만 그것은 “아무개에게 청소를 시켰다”에서 [일]인 “청소를” 감추고 한 말일 뿐이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94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47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528
1940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151
1939 죽전과 삿대수 바람의종 2008.06.14 8151
1938 무량대수 바람의종 2008.04.16 8159
1937 분노와 대로 바람의종 2010.08.06 8162
1936 나름껏, 나름대로 바람의종 2010.02.08 8163
1935 길이름의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0.07.30 8164
1934 반지락, 아나고 바람의종 2008.09.04 8169
1933 엄리대수와 아시 바람의종 2008.02.20 8171
1932 막덕·바리데기 바람의종 2008.05.12 8177
1931 차로, 차선 바람의종 2008.12.07 8178
1930 마개와 뚜껑 바람의종 2008.02.04 8184
1929 필요한 사람?/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184
1928 소라색, 곤색 바람의종 2009.06.16 8184
1927 핫바지 바람의종 2007.04.24 8188
1926 갸냘픈 바람의종 2012.08.01 8188
1925 썰매 바람의종 2010.07.26 8192
1924 겨울 바람의종 2008.01.07 8194
1923 약방에 감초 바람의종 2008.01.25 8196
1922 이견을 좁히다 바람의종 2008.12.06 8200
1921 문장의 앞뒤 바람의종 2010.01.10 8211
1920 공권력 바람의종 2010.09.03 8211
1919 수훈감 바람의종 2010.05.17 82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