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9 11:18

안시성과 아골관

조회 수 6905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안시성과 아골관

안시성(安市城)은 고구려 역사에서도 상징적인 곳이라고 할 수 있다. 양만춘 장군이 쏜 화살이 당태종 이세민의 눈을 맞힘으로써 당의 침략을 막아낸 곳이 그곳인 까닭이다. 그런데 안시성은 어떤 뜻을 지닌 말일까?

<이재속고> ‘화음방언자의해’에는 “압록강을 건너 구련성이 있는데, 명나라 때 요동에 소속되었다. <삼연집>에서는 아골관(鴉?關)이라 일컬었으며, 만력 병신년에 이름을 고쳐 ‘진강성’이라 하고 유격부를 설치했다. 청나라 사람들은 그 땅을 비워 두었으니 대개 요하의 동쪽으로, 본디 고구려의 옛 경계다. 당서에는 안시성은 없으나 곧 아골관이 그곳이다. 아(鴉)와 안(安)은 소리가 비슷하고, 골(?)과 시(市) 두 자모 또한 서로 바뀐 것이다”라고 적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안시성의 옛이름으로 ‘아골관’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아골관’의 ‘골’(?)은 <집운>에서 ‘홀’(忽)과 같다. 이 ‘홀’이 고구려의 땅이름 가운데 마을을 뜻하는 말이었음을 고려한다면, 안시성도 고구려의 수많은 ‘홀’이 붙은 땅이름임을 알 수 있다.

<삼국사기>에는 안시성을 ‘안촌홀’이라 했으며, ‘환도성’이라고도 하였다. 또한 <연행록>을 비롯하여 많은 문헌 기록에는 안시성을 ‘봉황성’이라고도 했다. ‘환’(環)은 둥근 알을 뜻하며, 봉황은 신령스런 새이니 환도성과 봉황성은 그뜻을 한자로 살린 이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른바 ‘동북공정’에서 한국사 비틀기를 바로잡는 데 내려오는 땅이름의 실체도 좋은 자료가 될 듯하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7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41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045
2204 안치다, 밭치다, 지게, 찌개 바람의종 2008.06.16 8420
2203 안정화시키다 바람의종 2012.04.23 13974
2202 안절부절못하다 바람의종 2010.03.24 13350
2201 안절부절 하다 바람의종 2008.09.26 7044
2200 안절부절 못하다 바람의종 2008.01.22 7360
2199 안전성 / 안정성 바람의종 2012.09.24 16382
2198 안전문, 스크린 도어 바람의종 2010.11.25 9117
2197 안전과 안정 바람의종 2010.03.13 11391
2196 안양 바람의종 2007.07.30 7537
» 안시성과 아골관 바람의종 2008.01.19 6905
2194 안성마춤 바람의종 2008.10.23 6071
2193 안녕히, ‘~고 말했다’ 風文 2022.10.11 1401
2192 안녕하세요 바람의종 2010.05.30 10126
2191 안겨오다 바람의종 2008.04.06 7410
2190 안갯속 바람의종 2010.06.19 8807
2189 안갚음 / 앙갚음 바람의종 2008.06.03 7406
2188 안갚음 바람의종 2010.10.18 9776
2187 안갚음 風磬 2007.01.19 8965
2186 안 해, 안돼 바람의종 2009.08.06 7799
2185 안 본 지 바람의종 2010.01.14 7581
2184 안 되다와 안되다 바람의종 2010.05.13 11646
2183 안 / 않 바람의종 2008.12.08 89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