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9 11:14

말과 글

조회 수 4163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말과 글

‘말’과 ‘글’을 뜻이 아주 다른 낱말로 보아 ‘말글’이라 쓰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글’은 말에서 나왔고 말의 한 가지에 지나지 않으며, ‘말’은 글을 낳았고 글을 싸잡는 것이기에 이들 둘은 서로 다른 낱말이 아니다.

‘말’은 사람의 마음을 담아서 주고받는 노릇이다. 마음을 담으려면 그릇이 있어야 하는데 조물주가 내려준 그릇이 목소리다. 목소리에다 마음을 담아서 주고받는 노릇이 본디 ‘말’이었다. 목소리는 하늘이 내려주어서 누구나 힘들이지 않고 쓸 수 있는 그릇이지만 곧장 사라져서 눈앞에 있는 사람밖에는 주고받을 수가 없다. 사람은 사라지지 않는 그릇을 찾아 나섰고 마침내 ‘글자’를 만들어 눈앞에 없는 사람과도 주고받기에 이르렀다. 글자의 그릇에 마음을 담아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으며 주고받는 말, 이게 곧 ‘글’이다. 이래서 이제 목소리의 말을 ‘입말’이라 하고, 글자의 말을 ‘글말’이라 한다.

글말은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눈앞에 없는 사람과도 주고받을 수 있어서 엄청난 도움이 되었으나 살아 숨쉬는 느낌을 지닌 목소리를 담을 수가 없어서 아쉬웠다. 사람은 우리가 살고 있는 바로 오늘에 와서 시간과 공간에 아랑곳도 없고, 살아 숨쉬는 목소리도 놓치지 않고, 게다가 눈앞에 보듯이 모습까지 담아서 주고받을 수 있는 새로운 그릇을 찾아냈다. 그것이 바로 ‘전자’다. 전신·전화·영화·방송을 거쳐 인터넷에 이르는 ‘전자 그릇’에 마음을 담아 주고받는 ‘전자말’이 나타났다. 말이 세 가지로 벌어진 것이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78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27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291
1258 파천황 바람의종 2007.09.04 9783
1257 비듬나물 바람의종 2009.02.21 9783
1256 ~려, ~러 바람의종 2009.09.21 9787
1255 높임말 바람의종 2009.11.24 9788
1254 괴다와 사랑하다 바람의종 2008.02.02 9790
1253 심심파적 바람의종 2007.05.15 9799
1252 강다짐 바람의종 2010.02.25 9800
1251 유해 식품, 위해 식품 바람의종 2009.11.08 9801
1250 ~으로 / ~을 알고 있다 바람의종 2010.01.09 9802
1249 동생과 아우 바람의종 2010.06.16 9803
1248 버무르다, 버무리다 바람의종 2011.12.12 9803
1247 사뭇 / 자못 바람의종 2010.03.12 9805
1246 금싸래기 땅 바람의종 2012.01.08 9805
1245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817
1244 파투 바람의종 2007.09.04 9820
1243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22
1242 상채기, 상흔, 생재기 바람의종 2008.12.18 9831
1241 사리 바람의종 2011.11.11 9832
1240 강냉이, 옥수수 바람의종 2011.10.27 9834
1239 식혜와 식해 바람의종 2010.05.06 9836
1238 초콜릿, 발렌타인데이 바람의종 2010.02.25 9838
1237 가검물(可檢物) 바람의종 2010.05.12 98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