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9 11:14

말과 글

조회 수 4209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말과 글

‘말’과 ‘글’을 뜻이 아주 다른 낱말로 보아 ‘말글’이라 쓰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글’은 말에서 나왔고 말의 한 가지에 지나지 않으며, ‘말’은 글을 낳았고 글을 싸잡는 것이기에 이들 둘은 서로 다른 낱말이 아니다.

‘말’은 사람의 마음을 담아서 주고받는 노릇이다. 마음을 담으려면 그릇이 있어야 하는데 조물주가 내려준 그릇이 목소리다. 목소리에다 마음을 담아서 주고받는 노릇이 본디 ‘말’이었다. 목소리는 하늘이 내려주어서 누구나 힘들이지 않고 쓸 수 있는 그릇이지만 곧장 사라져서 눈앞에 있는 사람밖에는 주고받을 수가 없다. 사람은 사라지지 않는 그릇을 찾아 나섰고 마침내 ‘글자’를 만들어 눈앞에 없는 사람과도 주고받기에 이르렀다. 글자의 그릇에 마음을 담아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으며 주고받는 말, 이게 곧 ‘글’이다. 이래서 이제 목소리의 말을 ‘입말’이라 하고, 글자의 말을 ‘글말’이라 한다.

글말은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눈앞에 없는 사람과도 주고받을 수 있어서 엄청난 도움이 되었으나 살아 숨쉬는 느낌을 지닌 목소리를 담을 수가 없어서 아쉬웠다. 사람은 우리가 살고 있는 바로 오늘에 와서 시간과 공간에 아랑곳도 없고, 살아 숨쉬는 목소리도 놓치지 않고, 게다가 눈앞에 보듯이 모습까지 담아서 주고받을 수 있는 새로운 그릇을 찾아냈다. 그것이 바로 ‘전자’다. 전신·전화·영화·방송을 거쳐 인터넷에 이르는 ‘전자 그릇’에 마음을 담아 주고받는 ‘전자말’이 나타났다. 말이 세 가지로 벌어진 것이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34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94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788
1258 말의 세대 차 風文 2023.02.01 1329
1257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392
1256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401
1255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825
1254 말씀이 계시다 바람의종 2009.07.30 7452
1253 말소리의 억양 바람의종 2008.01.10 6939
1252 말소리의 높낮이 바람의종 2008.01.08 7289
1251 말세 바람의종 2007.07.01 8714
1250 말빨, 화장빨, 글빨 바람의종 2010.03.07 10232
1249 말머리아이 바람의종 2010.09.29 11121
1248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473
1247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584
1246 말다듬기 바람의종 2008.01.10 6542
1245 말높이기 바람의종 2008.01.13 6423
1244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風文 2022.07.19 1442
1243 말꽃과 삶꽃 바람의종 2008.01.28 7049
1242 말과 절제, 방향과 방위 風文 2022.07.06 1391
1241 말과 서열, 세대차와 언어감각 風文 2022.06.21 1294
1240 말과 생각 바람의종 2008.06.17 6215
1239 말과 상거래 風文 2022.05.20 1362
1238 말과 나라 바람의종 2007.12.14 6823
» 말과 글 바람의종 2008.01.19 42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