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8 06:32

압록강과 마자수

조회 수 6908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압록강과 마자수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는 압록강을 건너 연경(북경)을 거쳐 황제의 행궁이 있었던 열하까지 여행한 기행문이다. 이 책에서 압록강은 ‘마자수’라고 부르기도 하였는데, 그 근원이 말갈의 백산(백두산)으로부터 출발하며, 물빛이 오리의 머리빛깔과 같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압록강은 분명 물빛에서 나온 이름이다. 그런데 압록강을 왜 ‘마자수’(馬紫水)라 불렀던 것일까?

흥미로운 사실은 ‘마자’가 용(龍)을 뜻하는 토박이말 ‘미르’와 관련이 있다는 황윤석의 해석이다. 황윤석은 영조 때의 실학자로〈이제속고〉라는 문집으로 유명하다. 이 책의 잡저에는 ‘화음방언자의해’라는 글이 실려 있다. 말 그대로 중국의 한자음이 우리말에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설명하는 글이다. 여기서 곧 ‘마자’와 ‘미르’는 같은 소리였다고 한다. 그렇기에 압록강을 ‘마자수’ 또는 ‘용만’(龍灣)이라 불렀고, 또 압록강 가까이 있는 ‘의주’를 ‘용만’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땅이름 가운데 미르 ‘용’자가 들어간 곳도 비교적 많다. 유래를 확인할 수는 없지만, 연변에는 ‘용정’(龍井)이 있고, 서울에서 ‘용산’이 있다. 서울의 용산은 백제 기루왕 때 한강에서 두 마리 용이 나타났던 까닭으로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이처럼 땅이름은 어원보다는 설화 속에서 전승되는 경우가 많지만, ‘마자수’에 ‘미르’가 남아 있듯이 풍요로운 우리말의 창고 구실을 한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49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10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081
136 ‘-든지’는 선택,‘-던지’는 회상 바람의종 2010.03.17 12291
135 ‘-도록 하다’ 바람의종 2008.09.04 5212
134 ‘-데’와 ‘-대’의 구별 바람의종 2010.01.10 10279
133 ‘-데’와 ‘-대’, 정확한 표현 風文 2023.06.17 1666
132 ‘-다랗다’ 바람의종 2010.07.19 9663
131 ~하므로 ~함으로 바람의종 2008.07.17 8887
130 ~하는 듯 하다 / ~하는 듯하다 / ~하는듯하다 바람의종 2010.10.14 16761
129 ~중이다 바람의종 2010.03.17 11205
128 ~이라야, ~이래야 바람의종 2010.04.13 8203
127 ~의, ~와의 바람의종 2009.02.18 7414
126 ~으로 / ~을 알고 있다 바람의종 2010.01.09 9836
125 ~에게, ~와 바람의종 2010.05.28 8161
124 ~에, ~에게, ~한테, ~더러 바람의종 2008.10.01 8019
123 ~에 있어서 바람의종 2009.02.10 6874
122 ~에 의해 바람의종 2009.03.14 6929
121 ~에 대해, ~에 관해 바람의종 2009.03.26 10807
120 ~에 대한 바람의종 2008.03.11 7267
119 ~없다 바람의종 2010.07.26 11318
118 ~섰거라 바람의종 2010.04.27 10634
117 ~상(上) 줄여쓰기 바람의종 2009.09.21 8587
116 ~부터 시작 바람의종 2008.10.26 6586
115 ~마라 / ~말라 바람의종 2009.02.02 96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