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8 06:32

압록강과 마자수

조회 수 6920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압록강과 마자수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는 압록강을 건너 연경(북경)을 거쳐 황제의 행궁이 있었던 열하까지 여행한 기행문이다. 이 책에서 압록강은 ‘마자수’라고 부르기도 하였는데, 그 근원이 말갈의 백산(백두산)으로부터 출발하며, 물빛이 오리의 머리빛깔과 같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압록강은 분명 물빛에서 나온 이름이다. 그런데 압록강을 왜 ‘마자수’(馬紫水)라 불렀던 것일까?

흥미로운 사실은 ‘마자’가 용(龍)을 뜻하는 토박이말 ‘미르’와 관련이 있다는 황윤석의 해석이다. 황윤석은 영조 때의 실학자로〈이제속고〉라는 문집으로 유명하다. 이 책의 잡저에는 ‘화음방언자의해’라는 글이 실려 있다. 말 그대로 중국의 한자음이 우리말에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설명하는 글이다. 여기서 곧 ‘마자’와 ‘미르’는 같은 소리였다고 한다. 그렇기에 압록강을 ‘마자수’ 또는 ‘용만’(龍灣)이라 불렀고, 또 압록강 가까이 있는 ‘의주’를 ‘용만’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땅이름 가운데 미르 ‘용’자가 들어간 곳도 비교적 많다. 유래를 확인할 수는 없지만, 연변에는 ‘용정’(龍井)이 있고, 서울에서 ‘용산’이 있다. 서울의 용산은 백제 기루왕 때 한강에서 두 마리 용이 나타났던 까닭으로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이처럼 땅이름은 어원보다는 설화 속에서 전승되는 경우가 많지만, ‘마자수’에 ‘미르’가 남아 있듯이 풍요로운 우리말의 창고 구실을 한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87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48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449
136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1290
135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289
134 내일러 風文 2024.01.03 1288
133 말의 이중성, 하나 마나 한 말 風文 2022.07.25 1287
132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286
131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286
130 다만, 다만, 다만, 뒷담화 風文 2022.09.07 1285
129 국어와 국립국어원 / 왜 風文 2022.08.29 1284
128 깨알 글씨,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6.22 1279
127 말과 절제, 방향과 방위 風文 2022.07.06 1277
126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風文 2022.07.28 1277
125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風文 2022.02.24 1276
124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274
123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274
122 그림과 말, 어이, 택배! 風文 2022.09.16 1273
121 동무 생각, 마실 외교 風文 2022.06.14 1270
120 왠지/웬일, 어떻게/어떡해 風文 2023.06.30 1270
119 북혐 프레임, 인사시키기 風文 2022.05.30 1267
118 뒤죽박죽, 말썽꾼, 턱스크 風文 2022.08.23 1266
117 성인의 외국어 학습, 촌철살인 風文 2022.06.19 1265
116 역사와 욕망 風文 2022.02.11 1263
115 상석 風文 2023.12.05 12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