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7 09:27

나무노래

조회 수 7796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나무노래

초등학생 조카가 읊조리는 ‘나무노래’는 조그만 입술로 옹알대는 모습도 귀엽지만, 무엇보다도 언어유희 수준이 뛰어나 언제 들어도 재미있다. 우선 비슷한 소리를 붙인다. “가자가자 감나무, 오자오자 옻나무, 오다보니 오동나무, 늙었구나 느릅나무, 자빠졌다 잣나무 ….”

낱말풀이도 있다. “십리절반 오리나무, 열의갑절 스무나무, 내편네편 양편나무, 젖먹여라 수유나무, 셈잘한다 계수나무 ….”
말 쓰임이 나오기도 한다. “불밝혀라 등나무, 불에붙여 향나무, 마당쓸어 싸리나무 ….”
모습과 소리가 살아있다. “덜덜떠는 사시나무, 입맞췄다 쪽나무, 오줌싼다 쉬나무 ….”
반대말도 등장한다. “낮에봐도 밤나무, 거짓없어 참나무, 양반동네 상나무, 풀었어도 매자나무 ….”

아이러니는 어떤가. “한치라도 백자나무, 남쪽에 난 동백나무, 푸르러도 단풍나무, 죽어도 살구나무 ….” 아예 한 문장으로 만들기도 한다. “‘오자마자 가래’나무, ‘깔고앉아 구기자’나무, ‘칼로베어 피’나무, ‘씨름하여 저’나무, ‘하느님께 비자’나무, ‘그렇다고 치자’나무 ….”

요즘 생태학교에서 “뽕나무가 뽕하고 방구를 뀌니, 대나무가 대끼놈 야단을 치네, 참나무가 참다못해 하는 말, 참아라~”처럼 배운다 하니, 삶과 자연이 하나로 녹아든 모습이다. 나무노래는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4·4조 음수율에 운을 맞추고 뜻을 이루는 품새가 절묘하지 않은가.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03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72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566
1170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569
1169 장 담그셨나요? 바람의종 2008.04.14 7566
1168 무더위 바람의종 2010.07.09 7563
1167 마냥, 모양 바람의종 2009.10.08 7562
1166 호르몬 바람의종 2009.09.27 7561
1165 드셔 보세요 바람의종 2008.03.13 7559
1164 세꼬시 바람의종 2009.05.17 7557
1163 부리나케 風磬 2006.12.20 7556
1162 맞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01.13 7554
1161 불한당 바람의종 2007.07.17 7552
1160 웃음 바람의종 2007.12.26 7551
1159 주인공과 장본인 바람의종 2008.09.18 7551
1158 안 본 지 바람의종 2010.01.14 7548
1157 수표 바람의종 2008.03.24 7547
1156 아랍말과 히브리말 바람의종 2008.02.01 7546
1155 바람직안해 바람의종 2009.10.28 7546
1154 개안 바람의종 2007.05.30 7544
1153 비싼 돈, 싼 돈 바람의종 2010.02.06 7543
1152 경제 새말 바람의종 2008.01.04 7540
1151 벌레 바람의종 2008.01.03 7535
1150 모아지다 바람의종 2008.11.25 7533
1149 배식 바람의종 2009.02.03 75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