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6 03:56

미래시제

조회 수 7542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미래시제

어느 나라 말이든 지난적(과거)을 표현하는 방법은 분명하다. 그러나 올적(미래)을 나타내는 방법은 일정하지 않다. 우리는 대체로 ‘-겠-’으로 올적을 표현하지만, ‘-겠-’은 미래뿐만 아니라 의지·추측도 나타낸다. “어제 굉장히 재미있었겠구나”에 쓰인 ‘-겠-’은 지난 일을 추측하는 것이지 결코 미래가 아니다. 또한 ‘-겠-’을 쓸 자리에 ‘-을 것이(다)’를 자주 쓴다. 영어에서도 과거는 어미 ‘-ed’로 표현하지만, 미래를 나타내는 어미는 따로 없다. 그래서 보조동사 ‘will’이나 ‘shall’을 써서 미래를 나타내는데, 역시 의지·추측도 나타낸다.

인도 미슈미말은 지금 시간에서 멀고 가까운 정도에 따라 다양한 어미를 갖췄고, 아프리카 벰바말도 미래를 여러 등급으로 나눠 쓴다. 미슈미말에서 ‘ha tape tha-de’라 하면 내가 금방 밥을 먹을 것이라는 뜻이고, ‘ha tape tha-ne’라 하면 한참 뒤에 내가 밥을 먹을 예정이라는 뜻이다. 벰바말 역시 과거시제처럼 미래도 네 등급으로 나뉘어 있다. ‘ba-alaa-boomba’라 하면 한 서너 시간 지나서 일할 것이라는 뜻이며, ‘ba-lee-boomba’라 하면 오늘 늦게 일할 것이라는 뜻이고, ‘ba-ka-boomba’라 하면 내일 일할 것이라는 뜻이며, ‘ba-kaa-boomba’라 하면 모레 이후 일할 것을 나타낸다.

언뜻 보면 미래 표현이 매우 복잡해 보이지만 이들은 아주 자연스럽게 구분해 쓴다. 언어의 다양성을 보여준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90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3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295
1148 세상은 아직… 바람의종 2010.09.29 7459
1147 염두하지 못했다 / 마침맞다 바람의종 2009.02.19 7459
1146 올림과 드림 바람의종 2008.02.01 7458
1145 불한당 바람의종 2007.07.17 7456
1144 둥글레 바람의종 2008.05.10 7454
1143 개안 바람의종 2007.05.30 7448
1142 단고기 바람의종 2008.03.20 7444
1141 사설을 늘어놓다 바람의종 2008.01.15 7442
1140 부리나케 風磬 2006.12.20 7439
1139 뱃속, 배 속 바람의종 2012.05.10 7438
1138 말씀이 계시다 바람의종 2009.07.30 7435
1137 무더위, 불볕더위 바람의종 2012.05.18 7435
1136 주머니차 바람의종 2007.12.22 7427
1135 웃음 바람의종 2007.12.26 7426
1134 아랍말과 히브리말 바람의종 2008.02.01 7426
1133 주먹구구 바람의종 2007.05.18 7422
1132 아수라장 바람의종 2007.12.15 7422
1131 도리장이·물자이 바람의종 2008.06.07 7418
1130 맨날, 만날 바람의종 2008.09.24 7418
1129 세리머니 바람의종 2008.10.07 7417
1128 말할 자격 바람의종 2009.06.16 7416
1127 올인 바람의종 2008.04.29 74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