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6 03:54

여우골과 어린이말

조회 수 6634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여우골과 어린이말

땅이름에는 우리 고유의 정신이 담긴다. 이런 정신은 토박이말 땅이름에 많으며, 작은 땅이름에는 토박이말로 이루어진 것이 많다. 더욱이 이러한 땅이름은 쉽게 바뀌지 않는 성질을 갖는데, 이런 성질을 보수성이라 한다. 땅이름의 보수성은 어휘뿐만 아니라 말소리에도 남아 있다. 그 가운데 하나가 ‘여우골’ 발음이다. 강원 영서 지역에서는 이 땅이름이 ‘이윽골’(이때 ‘이’와 ‘으’는 합쳐서 하나의 소리로 내야 한다. 이런 소리는 ‘영감’을 ‘이응감’으로 부르는 것과 같다)로 발음된다. 그런데 ‘이’와 ‘으’를 합쳐서 소리를 내야 하니, 오늘날의 한글 표기로는 적을 방법이 없는 셈이다. 이렇게 표기 방법이 없는 땅이름이 오랫동안 전해지는 까닭은 땅이름이 지닌 보수성 때문이다.

그런데 〈훈민정음〉에는 이처럼 표기하기 어려운 발음을 표기하는 방법이 들어 있다. 〈훈민정음〉 ‘합자해’에는 아동과 변방의 말에 ‘ㅣ’가 먼저 나고 ‘ㅡ’가 나중 나는 발음이 있다는 기록이 있다. ‘의’는 ‘ㅡ’가 먼저 나고 ‘ㅣ’가 나중 나는 발음이다. 따라서 ‘이으’를 적을 때는 ‘ ’로 적을 수 있다는 것이다. 〈훈민정음〉에서는 이런 소리가 국어에서는 사용되지 않으며, 단지 아동(어린이)과 변방의 말에만 간혹 있다고 하였다.

말은 사람들의 심리를 반영한다. 오늘날 말소리가 가벼워지거나 혀를 굴리는 소리가 많아지는 것은 외국어 교육의 영향뿐만 아니라 현대를 살아가는 심리를 반영하는 것은 아닐까? 이런 점에서 ‘여우골’에 남아 있는 〈훈민정음〉의 어린이말은 오랜 우리의 삶을 의미하는 셈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7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25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177
2732 조이·조시 바람의종 2008.07.17 6477
2731 좋은 하루 되세요 바람의종 2008.08.28 6479
2730 사라져가는 언어(1) 바람의종 2007.10.26 6481
2729 짠지 file 바람의종 2009.07.29 6484
2728 메뚜기 바람의종 2008.01.02 6485
2727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490
2726 강남 바람의종 2009.02.12 6490
2725 켄트지 바람의종 2009.07.23 6490
2724 갈대 바람의종 2008.05.12 6491
2723 ‘당신의 무관심이 …’ 바람의종 2008.04.02 6492
2722 벵갈말 바람의종 2007.12.27 6496
2721 쐐기풀 바람의종 2008.03.24 6500
2720 “돈이 남으십니다” 바람의종 2010.10.11 6502
2719 사룀글투 바람의종 2008.07.29 6504
2718 범꼬리 바람의종 2008.03.27 6511
2717 야단법석 바람의종 2007.12.15 6511
2716 별명 바람의종 2008.12.17 6512
2715 괭이눈 바람의종 2008.03.01 6517
2714 날마닥, 날마당 바람의종 2009.02.05 6517
2713 어린노미·넙덕이 바람의종 2008.07.12 6520
2712 꽝꽝나무 바람의종 2008.06.14 6523
2711 고양이 바람의종 2008.10.11 65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