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6 03:54

여우골과 어린이말

조회 수 6877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여우골과 어린이말

땅이름에는 우리 고유의 정신이 담긴다. 이런 정신은 토박이말 땅이름에 많으며, 작은 땅이름에는 토박이말로 이루어진 것이 많다. 더욱이 이러한 땅이름은 쉽게 바뀌지 않는 성질을 갖는데, 이런 성질을 보수성이라 한다. 땅이름의 보수성은 어휘뿐만 아니라 말소리에도 남아 있다. 그 가운데 하나가 ‘여우골’ 발음이다. 강원 영서 지역에서는 이 땅이름이 ‘이윽골’(이때 ‘이’와 ‘으’는 합쳐서 하나의 소리로 내야 한다. 이런 소리는 ‘영감’을 ‘이응감’으로 부르는 것과 같다)로 발음된다. 그런데 ‘이’와 ‘으’를 합쳐서 소리를 내야 하니, 오늘날의 한글 표기로는 적을 방법이 없는 셈이다. 이렇게 표기 방법이 없는 땅이름이 오랫동안 전해지는 까닭은 땅이름이 지닌 보수성 때문이다.

그런데 〈훈민정음〉에는 이처럼 표기하기 어려운 발음을 표기하는 방법이 들어 있다. 〈훈민정음〉 ‘합자해’에는 아동과 변방의 말에 ‘ㅣ’가 먼저 나고 ‘ㅡ’가 나중 나는 발음이 있다는 기록이 있다. ‘의’는 ‘ㅡ’가 먼저 나고 ‘ㅣ’가 나중 나는 발음이다. 따라서 ‘이으’를 적을 때는 ‘ ’로 적을 수 있다는 것이다. 〈훈민정음〉에서는 이런 소리가 국어에서는 사용되지 않으며, 단지 아동(어린이)과 변방의 말에만 간혹 있다고 하였다.

말은 사람들의 심리를 반영한다. 오늘날 말소리가 가벼워지거나 혀를 굴리는 소리가 많아지는 것은 외국어 교육의 영향뿐만 아니라 현대를 살아가는 심리를 반영하는 것은 아닐까? 이런 점에서 ‘여우골’에 남아 있는 〈훈민정음〉의 어린이말은 오랜 우리의 삶을 의미하는 셈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63223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9974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4645
    read more
  4. 여자 팔자 뒤웅박 팔자

    Date2008.01.26 By바람의종 Views15628
    Read More
  5. 여위다, 여의다

    Date2010.05.17 By바람의종 Views12096
    Read More
  6. 여운을 남기다

    Date2010.02.07 By바람의종 Views10606
    Read More
  7. 여우잠

    Date2008.03.04 By바람의종 Views10243
    Read More
  8. 여우오줌

    Date2008.06.24 By바람의종 Views6451
    Read More
  9. 여우비

    Date2009.05.26 By바람의종 Views6852
    Read More
  10. 여우골과 어린이말

    Date2008.01.16 By바람의종 Views6877
    Read More
  11. 여우

    Date2008.11.26 By바람의종 Views5531
    Read More
  12. 여염집

    Date2007.05.17 By바람의종 Views13704
    Read More
  13. 여성상과 새말

    Date2007.11.04 By바람의종 Views9213
    Read More
  14. 여성

    Date2009.07.06 By바람의종 Views6008
    Read More
  15. 여부, 유무

    Date2009.05.29 By바람의종 Views15380
    Read More
  16. 여부(與否)

    Date2010.01.20 By바람의종 Views8566
    Read More
  17. 여보세요?

    Date2023.12.22 By風文 Views1359
    Read More
  18. 여보

    Date2010.07.05 By바람의종 Views14106
    Read More
  19. 여간 쉽지 않다

    Date2012.09.20 By바람의종 Views9855
    Read More
  20. 엘레지, 사리

    Date2012.06.26 By바람의종 Views8888
    Read More
  21. 엘레지

    Date2009.06.17 By바람의종 Views7496
    Read More
  22. 엔간하다. 웬만하다. 어지간하다. 어연간하다

    Date2010.08.17 By바람의종 Views15257
    Read More
  23. 엔간하다

    Date2007.01.19 By風磬 Views9871
    Read More
  24. 엑박

    Date2010.03.30 By바람의종 Views10906
    Read More
  25. 엑기스

    Date2008.02.17 By바람의종 Views7816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