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5 05:01

쇠뜨기

조회 수 7232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쇠뜨기

어렸을 적 시골 들판에 지천으로 깔린 것에 ‘쇠뜨기’라는 풀이 있었다. 뿌리가 너무 깊어 계속 뽑다 보니 새벽닭이 울더라고 농담을 하는 이도, 소꿉놀이 할 때 사금파리에 모래로 밥하고 쇠뜨기를 반찬 삼았다는 이도 있다.‘뱀밥’이라고도 한다. 특히 햇빛이 잘 드는 풀밭이나 둑에서 잘 자라는데, 그런 곳에서 소가 주로 뜯어먹기에 ‘쇠뜨기’라는 이름이 붙었단다. 과식은 금물로, 아무리 쇠뜨기라지만 소도 쇠뜨기를 많이 먹으면 배탈이 난다는데, 이는 쇠뜨기에 센 이뇨성분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쇠뜨기의 영어이름이 ‘말꼬리’(horsetail)인 것을 보고 무릎을 탁 쳤다. 풀이름 하나가 문화를 이렇게 잘 반영할 수가! 우리나라 들판에는 소가 있고, 서양 들판에는 말이 많구나. 그래서 들판에 자라는 같은 풀을 두고서도 한쪽은 ‘소’를, 서양 쪽에서는 ‘말’을 기준으로 이름을 붙인 것 아닌가. 한자말에도 말풀, 곧 ‘마초’(馬草)가 있긴 하나, 실제 영어 쪽에 말과 관련된 말이 많다.

이는 바로 ‘농경’(또는 牛耕) 문화와 ‘유목’ 문화를 대비하기도 한다. 우리 겨레는 본디 유목민이었다고 하나, 원시시대에 유목민 아니었던 겨레가 어디 있으랴. 다만 우리는 일찍 터 잡아 소로 논밭 갈아 농사를 지은 까닭에 소와 관련된 말이 많아진 듯하다. 심지어 소에서 나오는 온갖 부산물도 버리지 않는다. 소와 관련된 나무도 있지만 풀이름으로 소귀나물, 쇠무릎지기, 쇠치기풀 …들이 있다.

임소영/한성대 한국어교육원·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51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17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066
1984 도로아미타불 바람의종 2008.02.05 8124
1983 나래, 내음, 뚝방길 바람의종 2009.03.16 8127
1982 아무럼 / 아무렴 바람의종 2010.05.10 8129
1981 니캉 내캉! 바람의종 2008.10.24 8130
1980 빈대떡 바람의종 2010.09.01 8131
1979 쇠발개발, 오리발, 마당발 바람의종 2008.09.09 8132
1978 유도리 바람의종 2008.02.18 8133
1977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136
1976 부수다와 부서지다 바람의종 2010.07.19 8137
1975 아이구, 아이쿠, 에그머니, 아이구머니 바람의종 2009.08.05 8138
1974 치고박고 바람의종 2009.03.26 8143
1973 ‘자꾸’와 ‘지퍼’ 바람의종 2008.12.18 8145
1972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146
1971 잇달다, 잇따르다 바람의종 2008.11.14 8149
1970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153
1969 삼복더위 바람의종 2009.03.04 8153
1968 맨정신/맨흙 바람의종 2007.10.26 8158
1967 따오기 바람의종 2009.05.02 8159
1966 금지옥엽 바람의종 2007.10.31 8159
1965 삼촌 바람의종 2008.01.27 8162
1964 칠칠하다 바람의종 2007.03.29 8164
1963 무량대수 바람의종 2008.04.16 81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