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5 05:00

그치다와 마치다

조회 수 7306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그치다와 마치다

‘그치다’나 ‘마치다’나 모두 이어져 오던 무엇이 더는 이어지지 않는다는 뜻이다. 이어져 오던 것이므로 시간의 흐름에 얽혔고, 사람의 일이거나 자연의 움직임에 두루 걸쳐 있다. 그러나 이들 두 낱말은 서로 넘나들 수 없는 저마다의 뜻을 지니고 있으니, 서로 넘나들 수 없게 하는 잣대는 과녁이다.

과녁을 세워놓고 이어지던 무엇이 과녁을 맞춰서 이어지지 않으면 ‘마치다’를 쓴다. 과녁 없이 저절로 이어지던 무엇은 언제나 이어지기를 멈출 수 있고, 이럴 적에는 ‘그치다’를 쓴다. 자연은 엄청난 일을 쉬지 않고 이루지만 과녁 같은 것은 세우지 않으므로 자연의 모든 일과 흐름에는 ‘그치다’는 있어도 ‘마치다’는 없다. 비도 그치고 바람도 그치고 태풍도 그치고 지진도 그친다. 과녁을 세워놓고 이어지는 무엇은 사람에게만 있는 것이나, 사람 일이라고 모두 과녁을 세우는 건 아니다. 그래서 사람의 일이나 움직임에는 ‘그치다’도 있고 ‘마치다’도 있다. 울던 울음을, 웃던 웃음도, 하던 싸움도 그치지만, 학교 수업을, 군대 복무도 마치고, 가을걷이를 다하면 한 해 농사도 마친다.

이어져 오던 무엇이 더는 이어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끝나다’와 ‘끝내다’도 쓴다. 물론 저절로 이어지지 않으면 ‘끝나다’고, 사람이 마음을 먹고 이어지지 않도록 하면 ‘끝내다’다. 이들 두 낱말은 과녁이 있는지 없는지를 가리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뜻을 지니고 마음을 먹었느냐 아니냐를 가려서 쓰는 것이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1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65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644
1038 방조하다 바람의종 2008.03.30 7262
1037 이름 부르기 바람의종 2008.04.06 7261
1036 통틀어 바람의종 2007.03.30 7255
1035 벽과 담 윤영환 2011.11.28 7254
1034 원-달러 바람의종 2009.03.08 7253
1033 닭알 바람의종 2008.07.26 7245
1032 수수방관 바람의종 2007.12.14 7242
1031 사룀 바람의종 2008.07.24 7240
1030 한글과 우리말 바람의종 2008.02.19 7234
1029 바람의종 2008.11.01 7225
1028 사이시옷 적기 바람의종 2010.01.08 7225
1027 발칙과 점잔 바람의종 2008.06.21 7220
1026 번역 투 문장 바람의종 2010.01.10 7219
1025 ~에 대한 바람의종 2008.03.11 7219
1024 안겨오다 바람의종 2008.04.06 7216
1023 제트(Z) 바람의종 2009.09.07 7214
1022 머슴날 바람의종 2009.08.02 7213
1021 개보름 바람의종 2007.12.29 7210
1020 두런·가라치 바람의종 2008.07.06 7207
1019 고무적 바람의종 2007.06.03 7207
1018 소고기, 쇠고기 바람의종 2008.11.19 7207
1017 바캉스, 다이어트 바람의종 2008.08.04 72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