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5 04:51

쓸어올리다

조회 수 8877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쓸어올리다

‘머리’와 ‘머리털’과 ‘머리카락’은 본디 뜻이 다르다. ‘머리’는 사람이나 동물의 목 위 부분을 가리키는 말로, 얼굴과 머리털이 있는 부분을 아울러 이른다. ‘머리털’은 ‘머리에 난 털’, ‘머리카락’은 ‘머리털의 낱개’를 이른다. 현대어에서 이런 구분이 넘나들면서 ‘머리털’을 가리키는 말로 ‘머리’와 ‘머리카락’도 함께 쓰인다. 최근에는 ‘머리털’보다 ‘머리’와 ‘머리카락’을 더 많이 쓰는 추세다. 곧 ‘머리털 자른다’가 아닌 ‘머리 자른다’, ‘머리카락 자른다’로 쓰는 것이다. ‘머리털’과 더불어 쓰이면서 큰사전에 오르지 않은 낱말로 ‘쓸어올리다’가 있다.

“두 사람의 근본적인 사랑을 헤살 놓지는 못할 것이라고 하면서 윤태는 남희의 이마를 가리고 있는 머리털을 쓸어올려 주었다.”(유주현 〈하오의 연가〉)
“습관적인 몸짓인 듯 정하섭은 흘러내리지도 않은 머리칼을 쓸어올렸다.”(조정래 〈태백산맥〉)
“묘옥은 흐트러진 머리를 쓸어올리면서 억지로 웃어 보였다.”(황석영 〈장길산〉)

‘쓸어올리다’는 머리털 따위를 위로 쓸면서 만진다는 뜻으로 쓰인다. 용례를 살펴보면 ‘머리털을 쓸어올리다’보다 ‘머리를 쓸어올리다, 머리카락(머리칼)을 쓸어올리다’라는 표현이 훨씬 많이 나타난다. ‘털’이 비속하게 느껴지는 까닭, 머리카락이 털이 지닌 작은 크기·길이를 벗어난 것으로 여기는 까닭일 수도 있겠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76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35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234
136 ‘외국어’라는 외부, ‘영어’라는 내부 風文 2022.11.28 1763
135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1417
134 질척거리다, 마약 김밥 風文 2022.12.01 1697
133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586
132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647
131 평어 쓰기, 그 후 / 위협하는 기록 風文 2022.12.07 2120
130 맞춤법·표준어 제정, 국가 독점?…오늘도 ‘손사래’ 風文 2022.12.12 1918
129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476
128 ○○노조 風文 2022.12.26 1517
127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1414
126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549
125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707
124 ‘통일’의 반대말 風文 2023.01.16 1884
123 말의 세대 차 風文 2023.02.01 1354
122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644
121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418
120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507
119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415
118 “김” 風文 2023.03.06 1877
117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514
116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645
115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6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