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4 06:59

예천과 물맛

조회 수 8721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예천과 물맛

땅이름은 특정 지역의 환경을 반영하여 만들어질 때가 많다. 그 가운데는 술과 관련된 것들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경북에 가면 ‘예천’(醴泉)이란 곳이 있다. 예천의 ‘예’(醴)는 단술을 뜻한다. 예천은 본디 신라의 수주현(水酒縣)이었는데, 경덕왕 때 예천군으로 고쳤다. ‘수주현’이나 ‘예천’은 둘 다 ‘술’과 관련이 있다. 땅이름에 ‘술’이 들어가는 까닭은 무엇일까? 오랫동안 땅이름을 연구했던 김윤학 교수는 이러한 원리를 ‘유연성’에서 찾는다. 유연성을 고려한다면, 술과 관련된 땅이름은 대체로 물과 깊은 관련을 맺는다.

예천이라는 땅이름에 단술을 뜻하는 한자 ‘예’를 쓴 것은 이 지역의 물맛이 단술 맛과 같다는 뜻이었다. 흥미로운 점은〈산해경〉에 나오는 ‘봉황 설화’다. 이를 보면 발해 북쪽 땅 한곳에 붉은 동굴이 뚫린 산이 있는데, 그 산 꼭대기에는 금과 옥이 많고 붉은 물이 흘러나오는 곳이 있다. 이 물은 남쪽 발해로 흘러드는데 그곳에 큰 새가 있으니, 모양은 닭과 같고 오색찬란한 새로, 그 이름을 봉황이라 한다고 했다. “봉황은 신령스러운 새이니 수컷을 봉이라 하고, 암컷을 황이라 한다. 봉황의 성격은 오동나무가 아니면 앉지 않으며, 대나무 열매가 아니면 먹지 않는다”고 하였다.

〈시경〉기록에, 봉황은 예천의 물이 아니면 마시지 않는다 하였다. 술맛 같은 예천의 물. 그러나 오늘날은 예천만이 아니라 전국 어디를 가든 봉황이 마시는 물을 떠올리기는 쉽지 않은 일이 됐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1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7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77
1676 장본인 바람의종 2007.08.14 8613
1675 가능·가성능/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613
1674 덩쿨/넝쿨, 쇠고기/소고기 바람의종 2008.08.28 8612
1673 도레미파솔라시 바람의종 2010.01.27 8611
1672 자화자찬 바람의종 2007.12.18 8611
1671 복합어와 띄어쓰기 2 바람의종 2009.03.29 8611
1670 겁나 바람의종 2009.07.31 8608
1669 대충 風磬 2006.11.06 8607
1668 깡총깡총 / 부조 바람의종 2009.08.27 8603
1667 물럿거라, 엊저녁, 옜소, 밭사돈 바람의종 2008.11.29 8602
1666 어미 ‘-우’ 바람의종 2010.07.30 8601
1665 삼수갑산을 가다 바람의종 2008.01.16 8598
1664 허버지게 바람의종 2009.08.03 8593
1663 결단, 결딴 바람의종 2008.09.26 8592
1662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591
1661 딤섬 바람의종 2010.01.15 8591
1660 외동이, 외둥이 바람의종 2009.05.09 8591
1659 '난'과 '란' 바람의종 2008.06.17 8588
1658 뇌졸증/뇌졸중 바람의종 2008.09.02 8588
1657 ~상(上) 줄여쓰기 바람의종 2009.09.21 8587
1656 애리애리 바람의종 2008.07.01 8586
1655 부락, 마을, 동네 바람의종 2010.05.10 85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