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3 01:29

말높이기

조회 수 6352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말높이기

말에는 같은 표현이라도 정중하고 높이는 표현과 친근하고 편하게 말하는 표현이 있다. 상대를 높이는 정도에 따라 아주 높임, 조금 높임, 낮춤과 같이 몇 단계로 나뉘기도 한다. 우리말은 높이는 단계에 따라 ‘합니다-하오-하네-한다’로 나누기도, ‘해요-해’로 구분하여 표현하기도 한다.

인도네시아의 자바말도 높임의 단계가 엄격히 구분되는 언어로 유명하다. 높임 단계 따라 낱말이 달라진다. ‘밥’이란 말은 [sega]와 [sekul]로,‘먹다’도 두 단계인 [mangan]와 [neda]로 나뉘어 있어, 우리말에서 ‘밥-진지’,‘먹다-잡수시다’를 구별해 쓰는 것과 같다.

‘집’을 가리킬 때 [omah], [grija], [dalem] 셋을 쓰는데, 각각 낮춤말·중간말·높임말이다. ‘가다’도 [arep], [adjeng], [bade]로, ‘지금’이란 말도 [saiki], [saniki], [samenika]처럼 세 단계로 나뉘어 있다. ‘당신’이란 말은 두 단계로 낮춤말은 [kowe], 중간말·높임말은 [sampejan]이다. 그래서 ‘너는 지금 밥을 먹고 있느냐?’는 말은 높이는 정도에 따라 자바말에서는 세 가지 표현이 가능하다. ‘apa kowe arep mangan sega saiki?’(낮춤), ‘napa sampejan adjeng neda sekul saniki?’(중간), ‘menapa sampejan bade neda sekul samenika?’(높임) 이 정도면 우리말 높임 표현보다 더 복잡한 편이 아닐까?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9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45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418
1258 말의 세대 차 風文 2023.02.01 1197
1257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245
1256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247
1255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687
1254 말씀이 계시다 바람의종 2009.07.30 7441
1253 말소리의 억양 바람의종 2008.01.10 6865
1252 말소리의 높낮이 바람의종 2008.01.08 7217
1251 말세 바람의종 2007.07.01 8658
1250 말빨, 화장빨, 글빨 바람의종 2010.03.07 10222
1249 말머리아이 바람의종 2010.09.29 11107
1248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315
1247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490
1246 말다듬기 바람의종 2008.01.10 6468
» 말높이기 바람의종 2008.01.13 6352
1244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風文 2022.07.19 1306
1243 말꽃과 삶꽃 바람의종 2008.01.28 6978
1242 말과 절제, 방향과 방위 風文 2022.07.06 1220
1241 말과 서열, 세대차와 언어감각 風文 2022.06.21 1145
1240 말과 생각 바람의종 2008.06.17 6161
1239 말과 상거래 風文 2022.05.20 1183
1238 말과 나라 바람의종 2007.12.14 6756
1237 말과 글 바람의종 2008.01.19 41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