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3 01:29

말높이기

조회 수 6406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말높이기

말에는 같은 표현이라도 정중하고 높이는 표현과 친근하고 편하게 말하는 표현이 있다. 상대를 높이는 정도에 따라 아주 높임, 조금 높임, 낮춤과 같이 몇 단계로 나뉘기도 한다. 우리말은 높이는 단계에 따라 ‘합니다-하오-하네-한다’로 나누기도, ‘해요-해’로 구분하여 표현하기도 한다.

인도네시아의 자바말도 높임의 단계가 엄격히 구분되는 언어로 유명하다. 높임 단계 따라 낱말이 달라진다. ‘밥’이란 말은 [sega]와 [sekul]로,‘먹다’도 두 단계인 [mangan]와 [neda]로 나뉘어 있어, 우리말에서 ‘밥-진지’,‘먹다-잡수시다’를 구별해 쓰는 것과 같다.

‘집’을 가리킬 때 [omah], [grija], [dalem] 셋을 쓰는데, 각각 낮춤말·중간말·높임말이다. ‘가다’도 [arep], [adjeng], [bade]로, ‘지금’이란 말도 [saiki], [saniki], [samenika]처럼 세 단계로 나뉘어 있다. ‘당신’이란 말은 두 단계로 낮춤말은 [kowe], 중간말·높임말은 [sampejan]이다. 그래서 ‘너는 지금 밥을 먹고 있느냐?’는 말은 높이는 정도에 따라 자바말에서는 세 가지 표현이 가능하다. ‘apa kowe arep mangan sega saiki?’(낮춤), ‘napa sampejan adjeng neda sekul saniki?’(중간), ‘menapa sampejan bade neda sekul samenika?’(높임) 이 정도면 우리말 높임 표현보다 더 복잡한 편이 아닐까?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60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13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064
3326 왠지/웬일, 어떻게/어떡해 風文 2023.06.30 1331
3325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333
3324 온실과 야생, 학교, 의미의 반사 風文 2022.09.01 1333
3323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334
3322 시간에 쫓기다, 차별금지법과 말 風文 2022.09.05 1334
332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이제 '본전생각' 좀 버립시다 風文 2022.02.06 1335
3320 성인의 외국어 학습, 촌철살인 風文 2022.06.19 1342
3319 올림픽 담론, 분단의 어휘 風文 2022.05.31 1344
3318 외국어 차용 風文 2022.05.06 1345
3317 주어 없는 말 風文 2021.11.10 1347
3316 그림과 말, 어이, 택배! 風文 2022.09.16 1348
3315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348
3314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風文 2022.07.28 1349
3313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351
3312 말과 상거래 風文 2022.05.20 1352
3311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355
3310 ‘짝퉁’ 시인 되기, ‘짝퉁’ 철학자 되기 風文 2022.07.16 1355
3309 다만, 다만, 다만, 뒷담화 風文 2022.09.07 1356
3308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357
3307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風文 2022.07.21 1358
3306 뒤죽박죽, 말썽꾼, 턱스크 風文 2022.08.23 1358
3305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3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