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2 02:48

서울

조회 수 6522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서울


서울은 예부터 수도를 상징하는 토박이말이다. 게다가 서울이라는 땅이름이 담고 있는 의미는 매우 다의적이다. ‘그 나라의 서울은 어디입니까?’라고 묻는다면, 그때의 서울은 ‘수도’를 뜻하는 말이며, ‘서울 600년사’라는 말에서는 한국의 수도인 ‘서울’을 뜻한다.

그런데 ‘서울’이라는 말은 어디서 나온 것일까? 이 말은 본디 ‘서라벌’(徐羅伐), ‘서벌’(徐伐)과 같이 정치나 행정의 중심지역을 뜻하는 말이었다. 특히 서라벌과 서벌은 ‘동쪽’을 뜻하는 ‘새’( )에 ‘마을’이나 ‘성’을 뜻하는 ‘벌’이 합쳐진 말로, 신라의 서울이었던 경주의 옛이름이었다. 그러기에 양주동은 〈고가연구〉에서 ‘향가’의 옛이름 가운데 하나인 ‘사뇌가’를 ‘동방의 노래’라 풀었던 것이다.

옛말 가운데 ‘서울’과 관련된 지명은 백제에도 있다. 백제의 서울인 ‘부여’의 옛이름이 ‘소부리’(所夫里)다. ‘서라벌’이나 ‘소부리’는 같은 뜻을 지닌 말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왜냐하면 마을을 뜻하는 말로 신라에서는 ‘화’(火: 불)를 붙이는 경우가 많았고, 고구려에서는 ‘홀’(忽)을 붙이는 사례가 많았는데, 백제는 ‘부리’(夫里)를 붙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 백제의 수도인 ‘소부리’는 모두 ‘서울’에 해당하는 옛말이었음이 증명된다.

중국에서는 서울을 소리가 비슷한 ‘서우얼’(首爾)로 적기로 했다고 한다. 얼마나 정착될지 궁금하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1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79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17
1566 범꼬리 바람의종 2008.03.27 6588
1565 바람의종 2008.08.03 6700
1564 벌이다와 벌리다 바람의종 2010.04.06 13504
1563 벌이다, 벌리다 바람의종 2008.10.11 9221
1562 벌써, 벌써부터 바람의종 2009.05.02 6157
1561 벌레 바람의종 2008.01.03 7492
1560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50
1559 벌개미취 바람의종 2008.05.05 6984
1558 번지르한, 푸르른 바람의종 2009.03.24 7682
1557 번역 투 문장 바람의종 2010.01.10 7243
1556 번번이 / 번번히 바람의종 2012.05.07 14642
1555 번갈아 바람의종 2007.05.10 8104
1554 버스 대절해서 행선지로 바람의종 2012.01.07 11439
1553 버스 값, 버스비, 버스 요금 바람의종 2010.03.24 14199
1552 버벅거리다 바람의종 2011.12.14 10813
1551 버버리 코트 바람의종 2008.02.12 6800
1550 버무르다, 버무리다 바람의종 2011.12.12 9804
1549 버들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4.10 8016
1548 뱉어라, 뱉아라, 뺏어라, 뺏아라, 맺어라, 맺아라 바람의종 2009.11.12 11563
1547 뱃속, 배 속 바람의종 2012.05.10 7478
1546 밸과 마음 바람의종 2008.04.09 8421
1545 백지 와 그라노! 바람의종 2010.02.08 71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