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2 02:48

서울

조회 수 6530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서울


서울은 예부터 수도를 상징하는 토박이말이다. 게다가 서울이라는 땅이름이 담고 있는 의미는 매우 다의적이다. ‘그 나라의 서울은 어디입니까?’라고 묻는다면, 그때의 서울은 ‘수도’를 뜻하는 말이며, ‘서울 600년사’라는 말에서는 한국의 수도인 ‘서울’을 뜻한다.

그런데 ‘서울’이라는 말은 어디서 나온 것일까? 이 말은 본디 ‘서라벌’(徐羅伐), ‘서벌’(徐伐)과 같이 정치나 행정의 중심지역을 뜻하는 말이었다. 특히 서라벌과 서벌은 ‘동쪽’을 뜻하는 ‘새’( )에 ‘마을’이나 ‘성’을 뜻하는 ‘벌’이 합쳐진 말로, 신라의 서울이었던 경주의 옛이름이었다. 그러기에 양주동은 〈고가연구〉에서 ‘향가’의 옛이름 가운데 하나인 ‘사뇌가’를 ‘동방의 노래’라 풀었던 것이다.

옛말 가운데 ‘서울’과 관련된 지명은 백제에도 있다. 백제의 서울인 ‘부여’의 옛이름이 ‘소부리’(所夫里)다. ‘서라벌’이나 ‘소부리’는 같은 뜻을 지닌 말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왜냐하면 마을을 뜻하는 말로 신라에서는 ‘화’(火: 불)를 붙이는 경우가 많았고, 고구려에서는 ‘홀’(忽)을 붙이는 사례가 많았는데, 백제는 ‘부리’(夫里)를 붙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 백제의 수도인 ‘소부리’는 모두 ‘서울’에 해당하는 옛말이었음이 증명된다.

중국에서는 서울을 소리가 비슷한 ‘서우얼’(首爾)로 적기로 했다고 한다. 얼마나 정착될지 궁금하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3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97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881
1566 쌉싸름하다 바람의종 2009.05.21 11951
1565 며칠 바람의종 2009.05.21 7056
1564 딱따구리 바람의종 2009.05.21 10883
1563 미사일 바람의종 2009.05.21 6780
1562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848
1561 눈곱, 눈살, 눈썰미, 눈썹 바람의종 2009.05.20 11001
1560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39
1559 먹어 보난 바람의종 2009.05.20 7802
1558 연신, 연거푸 바람의종 2009.05.17 8867
1557 세꼬시 바람의종 2009.05.17 7519
1556 세밑 바람의종 2009.05.17 5744
1555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517
1554 유례 / 유래 바람의종 2009.05.15 9457
1553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08
1552 꽃사지 바람의종 2009.05.15 8951
1551 검어솔이 바람의종 2009.05.15 7022
1550 '~적' 줄여 쓰기 바람의종 2009.05.12 11795
1549 비박 바람의종 2009.05.12 8474
1548 묵음시롱 바람의종 2009.05.12 6342
1547 좌우 바람의종 2009.05.12 8053
1546 참새 바람의종 2009.05.12 6795
1545 카브라 바람의종 2009.05.12 80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