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2 02:45

고양이

조회 수 7874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양이

‘고양이 앞에 쥐 꼴’,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고양이에게 생선가게를 맡긴 격’ 등은 고양이를 소재로 한 대표적인 속담이다. ‘고양이’(猫)는 15세기 문헌에서는 ‘괴’로 나타난다. 이 ‘괴’에 ‘작은 것’을 뜻하는 뒷가지 ‘-앙이’가 연결되어 ‘괴양이>고양이’가 된다. ‘고양이’는 17세기에 보이며 19세기부터 많이 썼다.

‘고양이’는 방언에서 매우 다양하게 쓰인다. 그 부류를 크게 나누어 보면 ‘괴·고양이·고니’로 나눌 수 있다. ‘괴’는 중세국어의 형태를 쓰는 것으로 지역에 따라 ‘고이·괴·궤·귀’로 발음한다. ‘고양이’는 ‘고앵이·고얭이·귀앵이·귀얭이·괴양이·괴앵이·광이·괭이·괘이·궤이’로 발음한다.

‘고니’(鬼尼)는 12세기 문헌인 <계림유사>에 보이는 어휘로 ‘고니’에 뒷가지 ‘-앙이’가 연결되어 ‘고냉이·고넹이·고냥이·꼬냥이·고넁이·개냉이·고내기·괘내기·귀내기·괴대기’로 발음한다. 소설 <토지>의 “니내 할 것 없이 사우는 고내기 새끼, 다 마찬가지 아니겄소”란 문장에서 이 방언을 볼 수 있다.

그 밖에도 ‘새깨미·살찡이’ 등을 쓰고 있다. 북쪽에서는 위에서 제시한 것 외에도 ‘고내·고냬·고내이·고애·고얘·공애·공얘’ 등의 발음을 사용하고 있다. ‘고양이’는 매우 다양한 발음으로 고장에서 쓰고 있다. 마치 오늘날 우리 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보는 듯하다. “약빠른 고양이 밤눈 어둡다”는 속담이 떠오른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34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85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842
1302 혈혈단신, 이판사판 바람의종 2008.07.02 7776
1301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775
1300 억지조어 바람의종 2011.11.11 7774
1299 실내체육관의 주소지 바람의종 2009.11.19 7771
1298 문진 바람의종 2009.08.07 7770
1297 믿음 바람의종 2009.09.18 7768
1296 두루뭉수리 風磬 2006.11.16 7762
1295 꿰매다, 시치다 바람의종 2008.11.25 7762
1294 으디 갔습메? 바람의종 2009.03.26 7761
1293 돌림말 바람의종 2009.09.26 7759
1292 만큼 바람의종 2010.05.11 7757
1291 빈대떡 風磬 2006.12.23 7757
1290 '매우''아주''몹시' 바람의종 2008.05.01 7757
1289 즐겁다, 기쁘다 바람의종 2008.10.13 7756
1288 조앙가 file 바람의종 2009.09.23 7754
1287 미스킴라일락 바람의종 2008.08.28 7751
1286 두사부일체 (일체/일절) 바람의종 2008.04.23 7751
1285 멘토링 바람의종 2010.03.04 7750
1284 영감 바람의종 2007.08.07 7746
1283 방울새 바람의종 2009.09.07 7745
1282 아나고 바람의종 2008.02.16 7743
1281 단출하다 風磬 2006.11.06 77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