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2 02:45

고양이

조회 수 7908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양이

‘고양이 앞에 쥐 꼴’,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고양이에게 생선가게를 맡긴 격’ 등은 고양이를 소재로 한 대표적인 속담이다. ‘고양이’(猫)는 15세기 문헌에서는 ‘괴’로 나타난다. 이 ‘괴’에 ‘작은 것’을 뜻하는 뒷가지 ‘-앙이’가 연결되어 ‘괴양이>고양이’가 된다. ‘고양이’는 17세기에 보이며 19세기부터 많이 썼다.

‘고양이’는 방언에서 매우 다양하게 쓰인다. 그 부류를 크게 나누어 보면 ‘괴·고양이·고니’로 나눌 수 있다. ‘괴’는 중세국어의 형태를 쓰는 것으로 지역에 따라 ‘고이·괴·궤·귀’로 발음한다. ‘고양이’는 ‘고앵이·고얭이·귀앵이·귀얭이·괴양이·괴앵이·광이·괭이·괘이·궤이’로 발음한다.

‘고니’(鬼尼)는 12세기 문헌인 <계림유사>에 보이는 어휘로 ‘고니’에 뒷가지 ‘-앙이’가 연결되어 ‘고냉이·고넹이·고냥이·꼬냥이·고넁이·개냉이·고내기·괘내기·귀내기·괴대기’로 발음한다. 소설 <토지>의 “니내 할 것 없이 사우는 고내기 새끼, 다 마찬가지 아니겄소”란 문장에서 이 방언을 볼 수 있다.

그 밖에도 ‘새깨미·살찡이’ 등을 쓰고 있다. 북쪽에서는 위에서 제시한 것 외에도 ‘고내·고냬·고내이·고애·고얘·공애·공얘’ 등의 발음을 사용하고 있다. ‘고양이’는 매우 다양한 발음으로 고장에서 쓰고 있다. 마치 오늘날 우리 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보는 듯하다. “약빠른 고양이 밤눈 어둡다”는 속담이 떠오른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04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62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584
2996 봄날은 온다 윤안젤로 2013.03.27 19884
2995 잔떨림 윤안젤로 2013.03.18 20764
2994 조개 바람의종 2013.02.05 19849
2993 바람의종 2013.01.25 17901
2992 어떠태? 바람의종 2013.01.21 20119
2991 등용문 바람의종 2013.01.15 18046
2990 두루 흐린 온누리 바람의종 2013.01.04 21047
2989 감질맛, 감칠맛 바람의종 2012.12.24 30523
2988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2.12.21 24163
2987 통음 바람의종 2012.12.21 21331
2986 상봉, 조우, 해후 바람의종 2012.12.17 22039
2985 폭탄주! 말지 말자. 바람의종 2012.12.17 19182
2984 외래어 합성어 적기 1 바람의종 2012.12.12 20464
2983 온몸이 노근하고 찌뿌둥하다 바람의종 2012.12.12 24244
2982 미소를 / 활기를 / 운을 띄우다 바람의종 2012.12.12 38116
2981 자잘못을 가리다 바람의종 2012.12.11 25951
2980 수뢰 바람의종 2012.12.11 17981
2979 금도(襟度) 바람의종 2012.12.10 17756
2978 박물관은 살아있다 2 바람의종 2012.12.10 23864
2977 달디달다, 다디달다 바람의종 2012.12.05 21413
2976 썰매를 지치다 바람의종 2012.12.05 21603
2975 자처하다, 자청하다 바람의종 2012.12.04 262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