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2 02:43

울과 담

조회 수 7690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울과 담

“울도 담도 없는 집에 시집 삼 년을 살고 나니 …” 이렇게 비롯하는 ‘진주난봉가’는 지난 시절 우리 아낙네들의 서럽고도 애달픈 삶을 그림처럼 노래한다. ‘울’이나 ‘담’이나 모두 삶의 터전을 지키고 막아주자는 노릇이다. 이것들이 있어야 그 안에서 마음 놓고 쉬고 놀고 일하며 살아갈 수가 있다. 울도 담도 없다는 것은 믿고 기대고 숨을 데가 없이 내동댕이쳐진 신세라는 뜻이다.

‘울’은 집이나 논밭을 지키느라고 둘러막는 것이다. ‘바자’나 ‘타리’로 만드는 것 둘이 있다. ‘바자’는 대·갈대·수수깡·싸리 따위를 길이가 가지런하도록 가다듬어 엮거나 결어서 만든다. 드문드문 박아둔 ‘울대’라고 부르는 말뚝에다 바자를 붙들어 매면 ‘울바자’가 된다. ‘타리’는 나무를 심어 기르거나 베어다 세워서 만든다. 탱자나무·잔솔나무·동백나무 같은 나무를 심어서 기르면 저절로 자라서 ‘생울타리’가 되고, 알맞게 자란 나무를 베거나 가지를 쳐서 세우고 울대 사이로 새끼줄로 엮어서 묶으면 그냥 ‘울타리’가 된다.

‘담’은 논밭 가를 막는 데는 쓰지 않고, 오직 집을 지키느라고 둘러막는 것이다. 흙에다 짚 같은 검불을 섞어서 짓이겨 쌓는 흙담, 흙과 돌을 층층이 번갈아 섞어서 쌓는 흙돌담, 오직 돌만으로 쌓는 돌담이 있다. 흙담·흙돌담은 반드시 위에 짚으로 이엉을 이거나 기와로 덮어서 눈비를 막아야 한다. 그러니까 눈비가 많고 비바람이 무서운 고장에서는 돌담이 아니면 견디기가 어렵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60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13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096
1148 벌레 바람의종 2008.01.03 7550
1147 비싼 돈, 싼 돈 바람의종 2010.02.06 7550
1146 주먹구구 바람의종 2007.05.18 7549
1145 바람직안해 바람의종 2009.10.28 7547
1144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546
1143 모아지다 바람의종 2008.11.25 7545
1142 둥글레 바람의종 2008.05.10 7537
1141 배식 바람의종 2009.02.03 7536
1140 마진 바람의종 2009.11.24 7535
1139 무크(지) 바람의종 2009.11.08 7531
1138 눈살, 등쌀 바람의종 2009.03.04 7530
1137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8.10.30 7527
1136 잠바 바람의종 2008.11.25 7525
1135 서울 風磬 2007.01.19 7525
1134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524
1133 찌찌 바람의종 2009.05.31 7524
1132 소라색 바람의종 2008.02.15 7524
1131 칼럼리스트 바람의종 2010.03.05 7523
1130 날래다와 빠르다 바람의종 2008.01.29 7520
1129 젠 스타일 바람의종 2008.11.20 7520
1128 자일, 아이젠 바람의종 2009.05.29 7519
1127 안양 바람의종 2007.07.30 75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