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0 01:28

말소리의 억양

조회 수 6979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말소리의 억양

우리는 낯선 사람이 하는 말을 듣고 그 사람의 고장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다. 독특하게 쓰는 낱말을 통해서도 알 수 있지만, 대개는 말씨에 나타나는 억양으로 알 수 있다. 억양이란 문장에 얹히는 소리의 높낮이를 말하는데 억양은 그 말의 특징을 구별해 주는 구실을 한다. 억양을 통해 사투리를 분간할 수 있는 것은 우리말뿐만 아니라 여러 말에서도 마찬가지다. 영어에서 영국영어, 미국영어를 분간하고, 미국영어 가운데서도 인종간의 언어 차이를 분간하는 데 억양이 그 몫을 한다.

그런데 억양은 문장의 문법 기능을 구별하는 데도 쓰인다. 우리말에서 보면, 똑같은 문장을 두고 끝 억양을 올리느냐 내리느냐에 따라 문법 기능이 달라진다. ‘이 책 읽었어요’를 끝을 내려 말하면 ‘읽었다’는 서술의 뜻이고, 끝을 올려 말하면 ‘읽었느냐’란 의문의 뜻이다. 영어에서도 ‘You are reading the book’을 올려 발음하면 묻는 문장이 된다. 대부분 언어에서 서술문은 문장 끝에 내림 억양이 놓이고 의문문은 문장 끝에 올림 억양이 놓인다.

문장이 아니더라도 한 낱말로 된 말도막도 억양 따라 뜻이 구별되는 경우가 많다. 영어 ‘What’은, 억양을 올리면 앞에 한 말을 되풀이해 달라는 요구이며, 내리면 내가 잘 듣고 있다는 뜻이고, 높은소리로 말하면 절망과 불신을 나타낸다. 이처럼 억양은 모든 언어에서 말씨의 특징을 나타내기도 하고, 문법적 기능을 구별해 주기도 한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48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05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966
136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風文 2022.07.11 1460
135 말의 이중성, 하나 마나 한 말 風文 2022.07.25 1459
134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458
133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456
132 외국어 차용 風文 2022.05.06 1455
131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453
130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450
129 온실과 야생, 학교, 의미의 반사 風文 2022.09.01 1450
128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1450
127 그림과 말, 어이, 택배! 風文 2022.09.16 1448
126 동무 생각, 마실 외교 風文 2022.06.14 1447
12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이제 '본전생각' 좀 버립시다 風文 2022.02.06 1446
124 ‘짝퉁’ 시인 되기, ‘짝퉁’ 철학자 되기 風文 2022.07.16 1446
123 상석 風文 2023.12.05 1446
122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440
121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風文 2022.09.08 1440
120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1440
119 국어와 국립국어원 / 왜 風文 2022.08.29 1439
118 산막이 옛길 風文 2023.11.09 1439
117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439
116 좋은 목소리 / 좋은 발음 風文 2020.05.26 1437
115 주어 없는 말 風文 2021.11.10 14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