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0 01:25

쇠죽

조회 수 8692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쇠죽

  겨울을 농한기라고 하지만 한편으로 일손이 바쁠 때가 있다. 소를 먹이고자 겨울 양식인 여물을 장만해야 한다. 겨울에 소가 가장 좋아하는 여물은 벼를 거두고 남은 짚이다. ‘여물’은 마소를 먹이려고 말려서 썬 짚이나 마른풀이다. 사전에는 ‘소여물, 말여물’이 나온다. 벼를 베고 난 논에 짚을 뭉친 짚동·짚뭇이 놓여 있는데 이것이 바로 여물감들이다.

‘쇠죽’은 소먹이로 짚·콩·풀 따위를 섞어 끓인 죽이다. 쇠죽을 끓일 때 넣는 쌀겨는 ‘쌀을 찧을 때 나오는 고운 속겨’인데 쇠죽을 죽처럼 만들어준다. 콩을 넣는 것은 단백질을 공급하기 위해서다.

‘쇠죽’은 지역에 따라 ‘소죽·세죽·쇠죽·시죽’으로 발음하는데, 전국적으로 고루 분포되어 있다. 제주도에서는 ‘쉐죽·쉐석’이라고도 한다. ‘쇠죽’은 복합어로 ‘소/쇠(牛) + 죽(粥)’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쇠물·세물·소물·쇠물·시물’이라고도 하는데, ‘쇠물’은 ‘쇠여물’을 줄여서 말한 것이다. 북쪽에서는 ‘쉐머리·쉐모리·쉐어리’라고 발음한다.

쇠죽을 끓일 때, 작두로 짚을 썰어 ‘쌀겨, 콩’과 함께 가마솥에 넣은 뒤, 음식물 찌꺼기가 담긴 구정물을 넣는다. 다 삶고 나서 나무로 만든 쇠죽바가지로 떠다가 구유에 넣어주면 뜨거운 김이 무럭무럭 나는 쇠죽을 먹으려고 긴 혀를 날름거리면서 소가 다가온다. 소가 쇠죽을 먹는 모습을 보고 있으면 구수한 냄새를 느낄 수 있다. 겨울이면 생각나는 시골집 풍경이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0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58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653
1984 수근거리다, 소근거리다 바람의종 2010.01.26 10657
1983 수구리 바람의종 2009.05.04 7323
1982 수 표현 바람의종 2011.12.14 9973
1981 쇼바, 샥 바람의종 2008.11.12 7783
» 쇠죽 바람의종 2008.01.10 8692
1979 쇠발개발, 오리발, 마당발 바람의종 2008.09.09 8109
1978 쇠를 녹이다 風文 2022.01.15 1582
1977 쇠르 몰구 가우다! 바람의종 2008.10.14 6125
1976 쇠뜨기 바람의종 2008.01.15 7112
1975 쇠다와 쉬다 바람의종 2010.04.17 14332
1974 쇠고기와 소고기 바람의종 2010.05.08 11423
1973 쇠고기 바람의종 2008.11.14 5482
1972 쇠고기 바람의종 2012.04.30 10004
1971 송글송글, 송긋송긋 바람의종 2012.04.30 13595
1970 송곳니 바람의종 2010.08.11 10374
1969 송고리 바람의종 2009.07.07 7340
1968 솔체꽃 바람의종 2008.04.26 7647
1967 솔찮이 짚어(깊어)! 바람의종 2009.08.05 7732
1966 솔새 바람의종 2009.07.06 7078
1965 손톱깍이, 연필깍이 바람의종 2008.10.17 5640
1964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065
1963 손가락방아 바람의종 2008.06.09 79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