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8 05:37

말소리의 높낮이

조회 수 7217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말소리의 높낮이

우리는 같은 말소리라도 높은소리로 낼 수도 있고 낮은소리로 발음할 수도 있다. 그런데 세계 언어 가운데는 같은 소리를 높은소리로 내는 말과 낮은소리로 내는 말이 서로 다른 뜻으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아프리카 가나말에는 높은소리와 낮은소리가 구별되어 쓰인다. [papa]라는 말을 살펴보자. 앞의 [pa]를 높게 내면 ‘훌륭한’이라는 뜻이 된다. 뒤의 [pa]를 높게 내면 ‘아버지’라는 뜻이 된다. 그런데 두 소리 모두 낮게 내면 ‘종려나뭇잎 부채’를 뜻한다. 이처럼 말소리의 높낮이에 따라 서로 다른 낱말이 된다.

이번에는 높은소리, 낮은소리에다 가운뎃소리까지 구별되어 세 단계로 쓰이는 말을 살펴보자. 나이지리아말에서 [kan]을 높은소리로 내면 ‘깨뜨리다’, 가운뎃소리로 내면 ‘맛이 시다’, 낮은소리로 내면 ‘도착하다’라는 뜻이 된다. 이처럼 높낮이가 낱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데, 그 가운데 대표적인 말이 바로 이웃 중국말이다. 중국말에는 무려 네 가지 높낮이가 구별된다. 따라서 중국말로 대화할 때는 높낮이 발음을 정확하게 하지 않으면 뜻이 통하지 않는다.

우리말은 어떨까? 옛말에는 이런 높낮이 구별이 있었지만, 지금은 일부 고장말을 제외하고는 사라졌다. 15세기에 ‘꽃’은 낮은소리였고, ‘풀’은 높은소리였고, ‘별’은 낮았다가 높아가는 소리였다. 그러나 요즘은 ‘꽃·풀’은 짧은소리로, ‘별’은 긴소리로 바뀌었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9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45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413
2490 사또 風磬 2006.12.26 7082
2489 덤터기 쓰다 바람의종 2007.12.31 7082
2488 민들레 홀씨 바람의종 2009.07.16 7082
2487 보모 바람의종 2007.07.13 7085
2486 자리 매김 바람의종 2008.10.13 7085
2485 렉카 바람의종 2009.05.25 7086
2484 돈놀이 바람의종 2009.03.01 7087
2483 솔새 바람의종 2009.07.06 7087
2482 십팔번, 가라오케 바람의종 2008.09.29 7091
2481 차별1 바람의종 2008.05.27 7097
2480 계간 바람의종 2007.06.02 7097
2479 살사리꽃 바람의종 2009.09.07 7104
2478 누겁다/ 서겁다 바람의종 2008.02.22 7105
2477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7107
2476 보게‘마씀’ 바람의종 2008.08.27 7107
2475 터울 바람의종 2008.11.11 7107
2474 산림욕 / 삼림욕 바람의종 2008.08.21 7116
2473 산오이풀 바람의종 2008.04.07 7121
2472 선팅, 로터리 바람의종 2009.07.06 7124
2471 뻐꾸기 바람의종 2009.03.24 7126
2470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7129
2469 소와리골 바람의종 2008.05.06 71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