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7 20:10

겨울

조회 수 8404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겨울
고장말탐험
한겨레





























» 2006년 11월 8일자 한겨레 신문 숨은말 탐험 이미지. 기사본문의 고어가 깨져 이미지를 넣습니다.
입동을 맞으면서 비가 오더니 기온이 크게 내려갔다. 엊그제까지 단풍이 들어 가을인가 했는데 이제 두툼한 옷을 입어야 하는 철이 되었다. 겨울은 가장 추운 계절로 양력에서는 12월부터 2월까지, 음력으로는 10월부터 12월까지를 말하고, 24절기로는 입동부터 입춘까지를 말한다.

‘겨울’(冬)은 중세국어에서 ‘겨 ·겨 ㅎ·겨을’을 거쳐 중부 방언에서 ‘겨울’로 쓰면서 표준어가 되었다. ‘겨울’은 지역 따라 음운 변화를 겪으면서 ‘겨을·결·게울·기을’을 쓰기도 하고, ‘저슬·저실·저울·절·즈을ㄱ·’을 쓰기도 한다. ‘겨 ’이 ‘저슬’로 바뀐 것을 보여준다. 한편 중세국어 ‘겨 ㅎ’에서 ‘ㅎ’이 대체로 ‘ㄱ’으로 발음되면서 지역에 따라 ‘저실ㄱ·저울ㄱ·절ㄱ·즈을ㄱ·?a’의 형태를 보이기도 한다.

‘동삼·동샘이·삼동’은 함경도와 평안도에서 널리 쓰는데 ‘동삼’은 ‘삼동’(三冬)과 같은 말이다. 곧, 겨울에 드는 석 달을 가리킨다.

‘세안, 시안’은 전라 방언에서 많이 쓴다. 겨울을 ‘세안·시안’이라고 하는 까닭은 이 말이 바로 겨울 추위를 뜻하였기 때문이다. 곧 ‘매우 심한 한겨울의 추위’를 이르는 ‘세한’(歲寒)을 말하는 것이다. 겨울은 계절을, ‘세한’은 추위를 말하는 것인데, 이 말이 ‘겨울’을 대신하는 말이 됐다.

중세국어의 형태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음운 변화를 일으키면서 한자어와 함께 다양하게 쓰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32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9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754
1478 국면 바람의종 2007.06.04 9297
1477 장안 바람의종 2007.08.15 9298
1476 가(價) 바람의종 2011.11.16 9300
1475 까짓것, 고까짓것, 고까짓 바람의종 2010.05.13 9304
1474 "빠르다"와 "이르다" 바람의종 2008.04.02 9309
1473 옷매무새, 옷매무시 바람의종 2008.09.25 9311
1472 한잔, 한 잔 바람의종 2009.07.22 9312
1471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10.02.12 9315
1470 바람 바람의종 2012.08.20 9320
1469 몰로이 바람의종 2009.06.30 9325
1468 허접쓰레기/허섭스레기 바람의종 2008.09.20 9325
1467 날염, 나염 바람의종 2009.06.12 9326
1466 이마귀 바람의종 2008.01.24 9327
1465 에다와 에이다 바람의종 2010.11.05 9330
1464 점심 바람의종 2007.08.17 9333
1463 "뿐"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1.03 9333
1462 우화 바람의종 2010.07.12 9339
1461 이루어지다, 이루다 바람의종 2009.08.04 9341
1460 개불알꽃 바람의종 2008.01.30 9343
1459 호박고지 바람의종 2008.01.05 9344
1458 신발 좀 간조롱이 놔! 바람의종 2010.01.26 9348
1457 낼름 / 웅큼 바람의종 2009.09.18 93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