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6 04:01

‘막하다’

조회 수 8262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막하다’

리말에서 부사로 쓰이는 ‘마구’는 ‘몹시 세차게, 아주 심하게, 아무렇게나 함부로’의 뜻을 나타낸다. 따라서 ‘마구 때리다’는 ‘아주 심하게 때리다’란 뜻이고, ‘마구 버리다’는 ‘아무렇게나 함부로 버리다’란 뜻이 된다. 이런 뜻의 ‘마구’가 줄어들어 생긴 말로 접두사 ‘막-’이 있다. 접두사 ‘막-’은 ‘거친’, ‘품질이 낮은’, ‘닥치는 대로 하는’, ‘함부로’란 뜻을 나타낸다. 따라서 ‘막소주’는 ‘품질이 낮은 소주’, ‘막말’은 ‘나오는 대로 함부로 하는 말’을 뜻하며, ‘막가다’는 ‘앞뒤를 고려하지 않고 함부로 행동하다’란 뜻이 된다. ‘막-’이 붙은 말이면서 아직 큰사전에 오르지 않은 낱말로 ‘막하다’가 있다.

“어히 자네는 너무 막하네 그려, ‘왜’가 다 뭔가?”(송영 〈군중 정류〉)
“손님 대접을 이렇게 막해도 되나 모르겠구먼.”(박완서 〈미망〉)
“죽은 사람은 말이 없으니까 아무렇게나 막해도 된다는 겁니까?”(전상국 〈좁은 길〉)
“무뚝뚝하고 말 막하기로 소문난 나의 어디서 그런 간사스러운 목소리가 나오는지 내심 신기할 지경이었다.”(박완서 〈그 가을의 사흘 동안〉)

여기서 ‘막하다’는 ‘말이나 행동 따위를 경우에 맞지 않게 닥치는 대로 함부로 하다’의 뜻을 나타낸다. 실제 쓰이는 말이니까 사전에 올린다 해도, ‘막하다·막가다·막되다’ 같은 말은 덜 쓰이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2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8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56
2952 지척 바람의종 2007.08.21 6864
2951 지지부진 바람의종 2010.08.17 11075
2950 지지배, 기지배, 기집애, 계집애, 임마, 인마 바람의종 2011.12.22 21144
2949 지역감정과 별명 바람의종 2010.03.08 9285
2948 지역 언어 바람의종 2007.11.05 6998
2947 지양과 지향 바람의종 2010.08.07 12142
2946 지양 바람의종 2007.08.20 10044
2945 지식생산, 동의함 風文 2022.07.10 1478
2944 지슬 風文 2020.04.29 1433
2943 지붕 바람의종 2010.05.31 9543
2942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544
2941 지리한 -> 지루한 바람의종 2012.06.13 10506
2940 지리하다, 지루하다 바람의종 2008.12.26 10872
2939 지리하다 바람의종 2009.07.31 9438
2938 지름길 바람의종 2007.03.27 6612
2937 지루하다 바람의종 2007.03.27 9594
2936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563
2935 지도 편달 바람의종 2007.12.22 35926
2934 지다 바람의종 2010.08.15 11619
2933 지나친 완곡 바람의종 2008.09.09 4715
2932 지긋이/지그시 風文 2023.09.02 1488
2931 지긋이, 지그시 바람의종 2008.11.13 104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