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6 03:57

모음의 짜임새

조회 수 5828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모음의 짜임새

언어학자 로만 야콥슨은 어린이가 말을 배울 때 가장 먼저 습득하는 모음은 [a]라고 한다. 그 다음 모음은 [u]와 [i]라고 한다. 그런데 실어증 환자가 말을 잃어가는 단계에서 맨 마지막에 잃어 버리는 것이 [u]와 [i], 그리고 [a]라고 한다. 여기서, 가장 기본이 되는 모음은 바로 [a], [u], [i]라 할 수 있다.

필리핀은 영어를 공용어로 쓰지만, 고유한 말은 타갈로그말이다. 이 말에는 모음이 세 개다. 바로 [a], [u], [i]이다. 모음 수가 적다고 온전하지 못한 말이라고는 할 수 없다. 왜냐하면 모음 대신에 다른 요소가 분화되어 이를 보충해 주기 때문이다.

모음이 다섯인 말에는 이웃 일본말을 비롯해 스페인말·러시아말이 있다. [a], [u], [i] 셋에다 [e]와 [o]가 더 있다. 이렇게 몇 개씩 더해 가면 언어에 따라 모음의 짜임새가 다양해진다. 이탈리아말과 독일말은 짜임새는 다르지만 모음이 일곱이고, 터키말은 여덟, 프랑스말은 열하나다.

그럼 우리말은 모음이 몇이나 될까? 표준어 규정에서 정한 표준발음법에는 열 개를 든다. 그런데 지역과 나이에 따라 머릿속에 갈무리된 모음의 수는 각각 다르다. 나이 따라 [에]와 [애]를 구별하지 않기도 하고, 지역 따라 [어]와 [으]를 하나의 소리로 인식하기도 한다. [위]와 [외]를 겹모음으로 발음하기도 한다. 내 머릿속에는 모음이 몇 개나 들어 있을까?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77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30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245
2952 하릴없이, 할 일 없이 바람의종 2012.10.30 13371
2951 어기여차 바람의종 2012.10.30 11878
2950 뭘로 / 뭐로 바람의종 2012.10.17 12778
2949 그분이요? / 그분이오? 바람의종 2012.10.17 9176
2948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2.10.15 10544
2947 드론 바람의종 2012.10.15 12270
2946 응큼하다 바람의종 2012.10.09 13385
2945 진면목 바람의종 2012.10.09 10349
2944 이었다, 이였다 바람의종 2012.10.08 30164
2943 전년도, 회계연도 바람의종 2012.10.08 12409
2942 마다 않고, 아랑곳 않고 바람의종 2012.10.05 16979
2941 개쓰레기 바람의종 2012.10.05 12245
2940 북녘말 바람의종 2012.10.04 12218
2939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12.10.04 8754
2938 팔염치, 파렴치 / 몰염치, 염치, 렴치 바람의종 2012.10.02 16062
2937 ~도 불구하고 바람의종 2012.10.02 11511
2936 고육지책, 궁여지책 바람의종 2012.09.28 11711
2935 퍼드레기 바람의종 2012.09.28 12864
2934 눈발, 빗발, 화장발 바람의종 2012.09.27 8946
2933 쪼달리다, 쪼들리다 / 바둥바둥, 바동바동 바람의종 2012.09.27 13912
2932 일찌기, 일찍이 / 더우기, 더욱이 바람의종 2012.09.26 31531
2931 귀향객, 귀성객 바람의종 2012.09.26 86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