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6 03:57

모음의 짜임새

조회 수 6001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모음의 짜임새

언어학자 로만 야콥슨은 어린이가 말을 배울 때 가장 먼저 습득하는 모음은 [a]라고 한다. 그 다음 모음은 [u]와 [i]라고 한다. 그런데 실어증 환자가 말을 잃어가는 단계에서 맨 마지막에 잃어 버리는 것이 [u]와 [i], 그리고 [a]라고 한다. 여기서, 가장 기본이 되는 모음은 바로 [a], [u], [i]라 할 수 있다.

필리핀은 영어를 공용어로 쓰지만, 고유한 말은 타갈로그말이다. 이 말에는 모음이 세 개다. 바로 [a], [u], [i]이다. 모음 수가 적다고 온전하지 못한 말이라고는 할 수 없다. 왜냐하면 모음 대신에 다른 요소가 분화되어 이를 보충해 주기 때문이다.

모음이 다섯인 말에는 이웃 일본말을 비롯해 스페인말·러시아말이 있다. [a], [u], [i] 셋에다 [e]와 [o]가 더 있다. 이렇게 몇 개씩 더해 가면 언어에 따라 모음의 짜임새가 다양해진다. 이탈리아말과 독일말은 짜임새는 다르지만 모음이 일곱이고, 터키말은 여덟, 프랑스말은 열하나다.

그럼 우리말은 모음이 몇이나 될까? 표준어 규정에서 정한 표준발음법에는 열 개를 든다. 그런데 지역과 나이에 따라 머릿속에 갈무리된 모음의 수는 각각 다르다. 나이 따라 [에]와 [애]를 구별하지 않기도 하고, 지역 따라 [어]와 [으]를 하나의 소리로 인식하기도 한다. [위]와 [외]를 겹모음으로 발음하기도 한다. 내 머릿속에는 모음이 몇 개나 들어 있을까?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60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2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963
2952 님, 임 바람의종 2008.10.22 5579
2951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람의종 2008.03.16 5601
2950 도탄 바람의종 2007.06.27 5630
2949 억수로 좋노? 바람의종 2009.08.27 5633
2948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中) 바람의종 2008.06.22 5648
2947 손톱깍이, 연필깍이 바람의종 2008.10.17 5663
2946 다듬은 말 바람의종 2008.05.22 5682
2945 댓글 바람의종 2007.11.01 5688
2944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1.12 5695
2943 디려놓곡 내여놓곡 바람의종 2009.04.30 5703
2942 반딧불이 바람의종 2008.09.07 5703
2941 보루 바람의종 2007.07.13 5721
2940 '이/가' '을/를' 바람의종 2009.03.27 5725
2939 더 이상 바람의종 2008.10.26 5731
2938 맨 처음, 맨손 바람의종 2008.12.07 5733
2937 공작 바람의종 2009.03.30 5737
2936 생각두룩새 바람의종 2009.05.28 5745
2935 엉겅퀴 바람의종 2008.03.22 5766
2934 세밑 바람의종 2009.05.17 5774
2933 오마이 바람의종 2008.11.16 5776
2932 공쿠르, 콩쿠르 바람의종 2009.06.16 5778
2931 서로 바람의종 2009.03.30 57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