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6 03:57

모음의 짜임새

조회 수 5951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모음의 짜임새

언어학자 로만 야콥슨은 어린이가 말을 배울 때 가장 먼저 습득하는 모음은 [a]라고 한다. 그 다음 모음은 [u]와 [i]라고 한다. 그런데 실어증 환자가 말을 잃어가는 단계에서 맨 마지막에 잃어 버리는 것이 [u]와 [i], 그리고 [a]라고 한다. 여기서, 가장 기본이 되는 모음은 바로 [a], [u], [i]라 할 수 있다.

필리핀은 영어를 공용어로 쓰지만, 고유한 말은 타갈로그말이다. 이 말에는 모음이 세 개다. 바로 [a], [u], [i]이다. 모음 수가 적다고 온전하지 못한 말이라고는 할 수 없다. 왜냐하면 모음 대신에 다른 요소가 분화되어 이를 보충해 주기 때문이다.

모음이 다섯인 말에는 이웃 일본말을 비롯해 스페인말·러시아말이 있다. [a], [u], [i] 셋에다 [e]와 [o]가 더 있다. 이렇게 몇 개씩 더해 가면 언어에 따라 모음의 짜임새가 다양해진다. 이탈리아말과 독일말은 짜임새는 다르지만 모음이 일곱이고, 터키말은 여덟, 프랑스말은 열하나다.

그럼 우리말은 모음이 몇이나 될까? 표준어 규정에서 정한 표준발음법에는 열 개를 든다. 그런데 지역과 나이에 따라 머릿속에 갈무리된 모음의 수는 각각 다르다. 나이 따라 [에]와 [애]를 구별하지 않기도 하고, 지역 따라 [어]와 [으]를 하나의 소리로 인식하기도 한다. [위]와 [외]를 겹모음으로 발음하기도 한다. 내 머릿속에는 모음이 몇 개나 들어 있을까?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88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41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299
1368 몰래 입국, 몰래 출국 바람의종 2010.04.19 12288
1367 몰래 요동치는 말 風文 2023.11.22 1354
1366 몬뜰래기 벗곡! 바람의종 2010.04.02 11761
1365 목적 바람의종 2007.07.03 7014
1364 목재가구 / 목제가구 바람의종 2009.11.23 13239
1363 목로주점을 추억하며 윤안젤로 2013.03.28 19909
1362 모호하다 / 금쪽이 風文 2023.10.11 1379
1361 모하구로? 바람의종 2009.06.11 5893
1360 모자르다, 모자라다, 모잘라, 모자른, 모잘른 바람의종 2010.06.01 25332
» 모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6 5951
1358 모아지다 바람의종 2008.11.25 7545
1357 모시는 글 바람의종 2008.04.27 17389
1356 모순 바람의종 2007.07.03 5860
1355 모밀국수, 메밀국수, 소바 바람의종 2009.08.07 9929
1354 모밀국수 바람의종 2009.02.12 6335
1353 모리배 바람의종 2007.07.02 16674
1352 모르지비! 바람의종 2009.03.23 6053
1351 모량리와 모량부리 바람의종 2008.07.24 6759
1350 모디리 바람의종 2009.03.27 6697
1349 모둠, 모듬 바람의종 2009.10.08 10144
1348 모두에게? 바람의종 2009.03.25 5414
1347 모기버섯, 봉양버섯 바람의종 2009.11.19 136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