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4 22:50

자음의 짜임새

조회 수 6974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자음의 짜임새

한국에 사는 미국 사람이 ‘팔’이 아파 병원을 찾았다. 우리말로 ‘팔’이 아프다고 했는데, 의사는 ‘발’이 어떻게 아프냐고 묻는다. ‘발’이 아니고 ‘팔’이 아프다고 하지만, 한국 의사는 어리둥절하기만 하다. 영어를 쓰는 사람은 머릿속에 우리말의 ‘발’과 ‘팔’이 구별되어 갈무리돼 있지 않아 이 두 발음을 구별하려 하지만 꽤 어렵다. 우리말을 쓰는 사람에게는 두 소리가 아주 자연스레 구별해 저장하고 있는데다 ‘빨’도 구분한다. 따라서 비슷한 [ㅂ·ㅍ·ㅃ] 세 소리를 정확히 구분한다. 그러니 [불·풀·뿔]도 아무 혼돈 없이 구별된다. [ㄱ·ㅋ·ㄲ], [ㄷ·ㅌ·ㄸ], [ㅈ·ㅊ·ㅉ] 역시 그러하다. 우리말은 자음에 세 짝을 이루어 구별한다.

영어에서는 이런 구별이 없고, 단지 유성음과 무성음이라는 두 짝을 구별한다. 우리말 ‘바보’의 두 ‘ㅂ’을 우리는 구별하지 못하지만, 미국 사람들은 앞의 [ㅂ]은 무성음으로 뒤의 [ㅂ]은 유성음으로 전혀 다른 소리로 구별해 인식한다. 마치 우리가 ‘발’과 ‘팔’을 구별하듯이. 영어뿐만 서양말 대부분이 그러하고, 가까이는 일본말·중국말도 그러하다. 이처럼 언어마다 자음의 짜임새는 각각 다르다.

우리말처럼 자음이 세 짝을 이루는 말에 동남아시아의 태국말·베트남말이 있다. 베트남말에서 [가]는 ‘정거장’, [카]는 ‘상당히’, [까]는 ‘노래하다’이다. 그렇다고 우리말과 베트남말이 말겨레가 같다는 것은 아니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90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39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454
2754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001
2753 장가들다 바람의종 2007.03.22 10285
2752 장 담그셨나요? 바람의종 2008.04.14 7525
2751 잡동사니 바람의종 2007.03.22 9373
2750 잡담의 가치 風文 2021.09.03 603
2749 잠바 바람의종 2008.11.25 7507
2748 잔불 바람의종 2009.07.06 7720
2747 잔떨림 윤안젤로 2013.03.18 20680
2746 잔돌배기 바람의종 2008.07.19 6822
2745 작명(作名)유감 바람의종 2008.11.12 6577
2744 작렬하다와 작열하다 바람의종 2010.03.05 11413
2743 작렬, 작열 바람의종 2008.09.18 11712
2742 작다와 적다 바람의종 2010.07.21 12820
2741 작니?, 작으니? 바람의종 2008.09.27 6610
2740 자화자찬 바람의종 2007.12.18 8595
2739 자치동갑 바람의종 2010.10.18 11063
2738 자처하다, 자청하다 바람의종 2012.12.04 26154
2737 자주꽃방망이 바람의종 2008.03.29 7865
2736 자정 바람의종 2007.08.14 7675
2735 자장면 곱빼기 바람의종 2008.05.29 7888
2734 자잘못을 가리다 바람의종 2012.12.11 25861
2733 자일, 아이젠 바람의종 2009.05.29 75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