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3 19:03

벌레

조회 수 7540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벌레

가을이 깊어가면서 ‘메뚜기’가 뛰어다니고, 장독대에서 ‘귀뚜라미’가 울어대는가 하면, 따사로운 햇볕에 각종 벌레들이 스멀스멀 기어 다닌다. ‘벌레’는 ‘버러지’와 함께 표준말로 쓰인다.

‘벌레’의 15세기 형태는 ‘벌에’다. 이 당시의 표기 방식은 ‘몸애〉모매’처럼 연철 표기가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벌에’는 ‘버레’가 아닌 ‘벌에’로 적었다. ‘몰애’(沙)도 같은 유형이다. 제2음절에 쓰이는 ‘ㅇ’은 ‘ㄱ’이 약화되어 나타난 것이다. 따라서 ‘벌에’의 이전 형태는 ‘벌게’로 추정할 수 있고, ‘몰애’의 이전 형태는 ‘몰개’로 추정할 수 있다.

‘벌레’의 방언 형태는 ‘벌레, 버래, 버러지, 벌게, 벌거지’가 있다. ‘벌게’의 경우는 ‘벌에/버래’보다 오래된 형태다. 그래서 ‘벌게’의 경우 고장말에서는 ‘벌개, 벌기, 블기’ 등으로 나타나고, ‘벌레’는 ‘버래, 벌레, 버랭이’로 나타난다.

‘벌거지〉버러지’의 변화에서 보는 것처럼, ‘벌거지’도 ‘벌ㄱ’에 뒷가지 ‘-어지’를 연결해 쓰는 고어형이다. 방언에서는 ‘벌거지, 벌가지, 벌걱지, 블그니, 벌갱이’로 쓰인다. ‘버러지’는 ‘벌’에 접미사 ‘-어지’를 연결한 것으로 ‘벌러지, 버럭지, 버레기’가 나타난다.

여기서 우리는 ‘벌게, 벌거지’가 단순히 지방에서 쓰는 사투리가 아니라, 중세국어인 ‘벌에’보다 이전에 썼던 옛말 형태임을 알 수 있다. 방언에는 이처럼 아주 오래된 말이 많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35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89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764
1896 선달 바람의종 2007.07.23 8722
1895 선낱 도고! file 바람의종 2010.03.13 10322
1894 선글라스 바람의종 2008.10.10 7426
1893 선교와 압박 風文 2021.09.05 996
1892 선과 청혼 바람의종 2008.04.03 6733
1891 서툴러와 서툴어 바람의종 2010.09.08 11773
1890 서울 바람의종 2008.01.12 6595
1889 서울 風磬 2007.01.19 7518
1888 서식지, 군락지, 군집, 자생지 바람의종 2012.11.30 21083
1887 서슴치 않고 / 통털어 바람의종 2008.12.12 11283
1886 서방님 바람의종 2007.05.12 8637
1885 서방과 사위 바람의종 2008.04.01 8110
1884 서로 바람의종 2009.03.30 5764
1883 서낭당 風磬 2006.12.29 8029
1882 서낭 바람의종 2008.02.15 7330
1881 서나서나 허소! file 바람의종 2009.12.14 8843
1880 서거, 별세, 타계 風文 2024.05.08 966
1879 샹재 바람의종 2009.04.13 7055
1878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7980
1877 생선, 생파 바람의종 2010.11.16 11326
1876 생살, 살생 바람의종 2012.05.15 8314
1875 생사여탈권 바람의종 2008.11.03 66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