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3 19:01

움과 싹

조회 수 8567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움과 싹

가을이 오니 메와 들에 푸나무들이 겨울맞이에 바쁘다. 봄부터 키워 온 씨와 열매를 떨어뜨리고 뿌리와 몸통에다 힘을 갈무리하느라 안간힘을 다한다. 그런 틈바구니에서 봄여름 쉬지 않고 일한 잎은 제 몫을 마쳐 기꺼이 시들어 떨어지고, 덕분에 사람들은 푸짐한 먹이를 얻고 아름다운 단풍 구경에 마냥 즐겁다. 머지않아 겨울이 오면 풀은 땅속에서 뿌리만으로, 나무는 땅위에서 꾀벗은 몸통으로 추위와 싸우며 봄이 오기를 기다린다. 봄이 오면 푸나무는 또다시 ‘움’을 틔우고 ‘싹’을 낸다.

‘움’은 무엇이며 ‘싹’은 무엇인가? 〈표준국어대사전〉은 ‘싹’을 “씨, 줄기, 뿌리 따위에서 처음 돋아나는 어린 잎이나 줄기”라 하고, ‘움’은 “풀이나 나무에 새로 돋아나오는 싹”이라 했다. 둘이 같은 것을 뜻한다는 풀이다. 그러나 ‘움’과 ‘싹’은 말처럼 뜻도 다르다. 다만 둘이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 비슷해서 마음을 꼼꼼히 지니고 살지 않으면 가려내기 어려울 뿐이다. ‘움’이 자라 ‘싹’이 된다.

푸나무의 목숨이 처음 나타날 적에는 씨앗이거나 뿌리거나 줄기거나 ‘눈’에서 비롯한다. 씨앗이나 뿌리나 줄기의 ‘눈’에서 새로운 목숨이 나타나는 첫걸음이 ‘움’이다. ‘움’은 껍질이나 땅을 밀고 나오면서 미처 햇빛을 받지 못해서 빛깔이 하얗고 모습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다. 희누런 ‘움’이 터져 나와 자라면 햇빛을 받아 빛깔이 푸르게 바뀌고 모습을 갖추면서 ‘싹’이 된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42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80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753
2578 웅숭깊다 바람의종 2007.03.03 17117
2577 웃음 바람의종 2007.12.26 7428
2576 웃어른/ 윗집/ 위층 風文 2024.03.26 1303
2575 웃긴, 웃기는 바람의종 2009.03.23 8227
2574 웃, 윗 바람의종 2010.04.24 10687
2573 움추리다 / 움츠리다, 오무리다 / 오므리다, 수구리다 / 수그리다 바람의종 2010.01.23 15371
» 움과 싹 바람의종 2008.01.03 8567
2571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418
2570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162
2569 울면 file 바람의종 2010.04.13 11019
2568 울돌목 / 노들강변 바람의종 2009.03.03 6664
2567 울궈먹다 바람의종 2009.02.17 11426
2566 울과 담 바람의종 2008.01.12 7520
2565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133
2564 운영과 운용 바람의종 2010.03.04 12093
2563 운명, 유명 바람의종 2008.12.26 8899
2562 우화 바람의종 2010.07.12 9309
2561 우통 벗고 등물 바람의종 2009.08.04 10262
2560 우연찮게 바람의종 2010.04.26 8315
2559 우산나물 바람의종 2008.07.02 7273
2558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192
2557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3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