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3 19:01

움과 싹

조회 수 8769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움과 싹

가을이 오니 메와 들에 푸나무들이 겨울맞이에 바쁘다. 봄부터 키워 온 씨와 열매를 떨어뜨리고 뿌리와 몸통에다 힘을 갈무리하느라 안간힘을 다한다. 그런 틈바구니에서 봄여름 쉬지 않고 일한 잎은 제 몫을 마쳐 기꺼이 시들어 떨어지고, 덕분에 사람들은 푸짐한 먹이를 얻고 아름다운 단풍 구경에 마냥 즐겁다. 머지않아 겨울이 오면 풀은 땅속에서 뿌리만으로, 나무는 땅위에서 꾀벗은 몸통으로 추위와 싸우며 봄이 오기를 기다린다. 봄이 오면 푸나무는 또다시 ‘움’을 틔우고 ‘싹’을 낸다.

‘움’은 무엇이며 ‘싹’은 무엇인가? 〈표준국어대사전〉은 ‘싹’을 “씨, 줄기, 뿌리 따위에서 처음 돋아나는 어린 잎이나 줄기”라 하고, ‘움’은 “풀이나 나무에 새로 돋아나오는 싹”이라 했다. 둘이 같은 것을 뜻한다는 풀이다. 그러나 ‘움’과 ‘싹’은 말처럼 뜻도 다르다. 다만 둘이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 비슷해서 마음을 꼼꼼히 지니고 살지 않으면 가려내기 어려울 뿐이다. ‘움’이 자라 ‘싹’이 된다.

푸나무의 목숨이 처음 나타날 적에는 씨앗이거나 뿌리거나 줄기거나 ‘눈’에서 비롯한다. 씨앗이나 뿌리나 줄기의 ‘눈’에서 새로운 목숨이 나타나는 첫걸음이 ‘움’이다. ‘움’은 껍질이나 땅을 밀고 나오면서 미처 햇빛을 받지 못해서 빛깔이 하얗고 모습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다. 희누런 ‘움’이 터져 나와 자라면 햇빛을 받아 빛깔이 푸르게 바뀌고 모습을 갖추면서 ‘싹’이 된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0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6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315
3348 다만, 다만, 다만, 뒷담화 風文 2022.09.07 1467
3347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468
3346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468
3345 날아다니는 돼지, 한글날 몽상 風文 2022.07.26 1473
3344 말의 세대 차 風文 2023.02.01 1474
3343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475
3342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미래를 창조하는 미래 風文 2022.05.17 1476
3341 성인의 외국어 학습, 촌철살인 風文 2022.06.19 1476
3340 북혐 프레임, 인사시키기 風文 2022.05.30 1477
3339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477
3338 좋은 목소리 / 좋은 발음 風文 2020.05.26 1479
3337 짧아져도 완벽해, “999 대 1” 風文 2022.08.27 1479
3336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479
3335 역사와 욕망 風文 2022.02.11 1480
3334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風文 2022.08.05 1480
3333 인과와 편향, 같잖다 風文 2022.10.10 1480
3332 연말용 상투어 風文 2022.01.25 1485
3331 시간에 쫓기다, 차별금지법과 말 風文 2022.09.05 1485
3330 물타기 어휘, 개념 경쟁 風文 2022.06.26 1487
3329 주어 없는 말 風文 2021.11.10 1488
3328 말과 상거래 風文 2022.05.20 1494
3327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이제 '본전생각' 좀 버립시다 風文 2022.02.06 14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