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3 18:59

복잡다난·미묘

조회 수 11050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복잡다난·미묘


‘복잡’(複雜)은 홀로 문장에 쓰일 수 없는 말뿌리다. 문장에 쓰이려면 ‘복잡하다’, ‘복잡성’, ‘복잡스럽다’처럼 접미사와 결합하여 파생어가 되거나, ‘복잡골절’, ‘복잡반응’처럼 다른 단어와 결합하여 합성어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복잡’이 포함된 복합어로, ‘복잡괴기(複雜怪奇)하다’, ‘복잡다기(-多岐)하다’, ‘복잡다단(-多端)하다’ 등이 있다. ‘복잡’에 한자어가 결합된 다음 다시 접미사 ‘하다’가 결합된 낱말인데, 큰사전에 수록되어 있다. 이와 비슷한 유형에 속하면서 흔히 쓰이는 낱말로 ‘복잡다난하다’, ‘복잡미묘하다’들이 있는데, 아직 큰사전에 수록되지 않았다.

“복잡다난한 신사년은 갔다.”(김동인 〈젊은 그들〉)
“복잡다난한 국내외 정세에 비추어 백척간두에 선 민주 대한의 역군이 되기로….”(김원일 〈불의 제전〉)
“겪어 볼 것은 모두 겪어 보자. 인간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해서, 사회의 복잡미묘한 구성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서….”(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 이 몇 달 동안에 있었던 東洋 三國 안의 실정은 그처럼 어처구니가 없이 복잡미묘했다.”(유주현 〈대한 제국〉)

‘복잡다난하다’는 ‘여러 일이나 상황 따위가 얽혀 어려움이 많다’, ‘복잡미묘하다’는 ‘일이나 상황 따위가 얽혀 야릇하고 묘하다’는 뜻으로 쓰였는데, 이 정도면 사전에 올릴 만하겠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7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2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217
114 말높이기 바람의종 2008.01.13 6288
113 서울 바람의종 2008.01.12 6453
112 고양이 바람의종 2008.01.12 7862
111 울과 담 바람의종 2008.01.12 7549
110 떨려나다 바람의종 2008.01.11 8893
109 말다듬기 바람의종 2008.01.10 6427
108 말소리의 억양 바람의종 2008.01.10 6832
107 쇠죽 바람의종 2008.01.10 8753
106 먹거리와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01.08 8363
105 헛이름 바람의종 2008.01.08 10695
104 말소리의 높낮이 바람의종 2008.01.08 7181
103 ‘오빠 부대’ 바람의종 2008.01.07 7444
102 겨울 바람의종 2008.01.07 8249
101 참말과 거짓말 바람의종 2008.01.07 8804
100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117
99 노무족 바람의종 2008.01.06 6291
98 모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6 5783
97 호박고지 바람의종 2008.01.05 9141
96 할말과 못할말 바람의종 2008.01.05 7528
95 제맛 바람의종 2008.01.05 7827
94 자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4 7015
93 경제 새말 바람의종 2008.01.04 74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