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2 16:58

드라비다말

조회 수 6886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드라비다말

인도말에 대해 좀더 살펴보자. 인도말은 대부분 인도유럽어족에 들지만, 남부 인도에 널리 퍼져서 쓰이는 말들은 드라비다어족에 든다. 이 말겨레는 남부 인도와 스리랑카 쪽에서 많이 쓰며, 파키스탄에서도 쓰이는데, 사용 인구는 모두 1억4천만 정도다. 대표적인 말은 기원전부터 오랜 전통과 문학을 간직한 타밀말이다. 그런데 북부 인도에서도 드라비다말 쓰임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기원전 이천년쯤 인도유럽말이 인도에 들어올 당시 인도에 가장 널리 퍼져 쓰이던 말이 바로 드라비다말이었을지도 모른다.

드라비다말의 명사는 단수·복수를 표시하며, 대명사는 남성·여성·중성으로 나뉜다. 알타이말·우랄말처럼 교착어에 해당하고, 문장도 주어-목적어-서술어 차례로 짜인다. 그래서 알타이말과 드라비다말이 같은 계통이 아닐까 생각하는 학자들도 있다. 20세기 초 헐버트라는 학자는 우리말과 드라비다말 몇 가지와 문법을 비교한 적이 있다. [kuvi]와 ‘구멍’, [kwi]와 ‘귀’, ‘집’을 뜻하는 [kudi]와 ‘구들’이 그런 보기다. 긍정적인 대답을 뜻하는 [am]과 우리말의 ‘암, 그렇고말고’ 등을 견주기도 했고, [pen](여자)과 ‘여펜네’를 견줬으나 신빙성이 거의 없다.

요즘도 우리말과 드라비다말의 계통 관련성을 주장하는 사람이 더러 있다. 그러나 그저 몇몇 낱말이나 문법 구조가 비슷하다고 해서 계통이 같다고 주장하는 것은 언어학적으로 매우 위험한 일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87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34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275
1126 등골이 빠진다 바람의종 2008.01.02 9722
1125 듬실과 버드실 바람의종 2008.01.25 7636
1124 들통나다 바람의종 2008.01.02 12510
1123 들추다, 들치다 바람의종 2009.11.24 10575
1122 들쳐업다 바람의종 2009.07.28 9649
1121 들이키다, 들이켜다 바람의종 2008.09.09 10277
1120 들여마시다 바람의종 2010.01.28 8479
1119 들어눕다 / 드러눕다, 들어내다 / 드러내다 바람의종 2012.08.16 20720
1118 들르다와 들리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02 11601
1117 들르다/들리다, 거스르다/거슬리다, 구스르다/구슬리다 바람의종 2008.05.24 12441
1116 드셔 보세요 바람의종 2008.03.13 7532
1115 드론 바람의종 2012.10.15 12265
1114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314
» 드라비다말 바람의종 2008.01.02 6886
1112 뒷자석, 뒤 자석, 뒷번호, 뒤 번호 바람의종 2009.11.08 11089
1111 뒷담화 보도, 교각살우 風文 2022.06.27 1073
1110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053
1109 뒷담화 바람의종 2009.06.15 6965
1108 뒷담화 風文 2020.05.03 1030
1107 뒷간이 바람의종 2008.09.18 7970
1106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180
1105 뒤처지다, 뒤쳐지다 바람의종 2012.09.21 126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