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2 16:57

메뚜기

조회 수 6477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메뚜기


황금빛 들녘 곳곳에는 벌써 가을걷이에 들어간 데도 적잖다. 벼가 익어가면서 메뚜기도 빛깔이 누렇게 변한 채 이리저리 뛰며 가을을 노래한다. 메뚜기는 이제 단순한 곤충이 아니라 환경오염 정도를 가리는 지표가 되었다.

옛 문헌에서 ‘메뚜기’가 나타나는 최초의 형태는 16세기의 ‘묏도기’다. ‘묏도기’는 ‘뫼(山)+ㅅ+도기’로 분석하는데, ‘도기’는 ‘번데기’의 중세국어형인 ‘본도기’에도 쓰였다. ‘묏도기’는 ‘묏도기>뫼또기>메또기>메뙤기>메떼기>메띠기’ 또는 ‘묏되기>뫼또기>메또기>메뚜기>메뛰기>뭬뛰기’와 같은 변화를 겪으면서 고장마다 다양한 소리와 꼴로 쓰인다.

‘메뚜기, 메뛰기, 메띠기’는 전국적으로 쓰인다. 전북 쪽에서는 ‘뫼뚜기, 뫼뛰기, 메띠기’를, 전남 쪽에서는 ‘뫼또기, 뫼뙤기, 메때기’를, 경남 쪽에서는 ‘메뜨이, 매띠, 메띵이, 미띠기’를, 경북 쪽에서는 ‘매띠기, 미떠기, 미떼기, 밀뚜기’를 쓴다. 충남에서는 ‘모띠기, 모때기’를 쓰고 있다.

한편, 전남과 전북에서는 ‘땅개미, 땅개비, 땅구’도 쓰이고, 경북에서는 ‘땅개비, 떼때비’를 쓴다. ‘땅개비’는 ‘방아깨비’를 일컫는 말인데, 메뚜기의 방언으로도 쓰고 있다. 제주로 가서는 좀더 특이하다. ‘득다구리, 만죽, 만축, 말똑, 말촉, 말축’ 등을 쓴다.

함경도에서는 ‘매때기, 매뚜기, 뫼뙤기’, 평북에서는 ‘매똘기, 매뚤기, 매뜰기, 멜뚜기, 부들깨미’라고 쓰는데, 남쪽과 별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7480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3976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08936
    read more
  4. 메가폰과 마이크

    Date2010.01.10 By바람의종 Views7903
    Read More
  5. 메다, 매다

    Date2008.10.14 By바람의종 Views7469
    Read More
  6. 메다와 지다

    Date2008.03.06 By바람의종 Views7208
    Read More
  7. 메뚜기

    Date2008.01.02 By바람의종 Views6477
    Read More
  8. 메리야스

    Date2010.01.06 By바람의종 Views9036
    Read More
  9. 메밀국수(모밀국수)

    Date2006.11.26 By風磬 Views9136
    Read More
  10. 메우다, 채우다

    Date2009.09.22 By바람의종 Views13458
    Read More
  11. 멘토링

    Date2010.03.04 By바람의종 Views7738
    Read More
  12. 멘트

    Date2010.02.15 By바람의종 Views8467
    Read More
  13. 며느리밥풀

    Date2008.01.19 By바람의종 Views5916
    Read More
  14. 며늘아기, 며늘아가

    Date2010.08.06 By바람의종 Views14345
    Read More
  15. 며칠

    Date2009.05.21 By바람의종 Views7037
    Read More
  16. 면면이, 면면히

    Date2011.10.27 By바람의종 Views10858
    Read More
  17. 면목

    Date2007.07.01 By바람의종 Views8060
    Read More
  18. 명-태

    Date2012.11.23 By바람의종 Views20763
    Read More
  19. 명란젓, 창란젓, 토하젓, 토화젓

    Date2008.11.24 By바람의종 Views11185
    Read More
  20. 명량·울돌목

    Date2008.03.30 By바람의종 Views6996
    Read More
  21. 명분

    Date2008.11.19 By바람의종 Views4467
    Read More
  22. 명사 + 하다, 형용사 + 하다

    Date2009.07.17 By바람의종 Views9164
    Read More
  23. 명사형

    Date2009.04.13 By바람의종 Views7319
    Read More
  24. 명사형 어미

    Date2010.03.14 By바람의종 Views9170
    Read More
  25. 명일

    Date2007.07.02 By바람의종 Views1118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57 Next
/ 157